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장사(三壯士)[팔도안희가 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 진주성 싸움에서 순국한 김천일(金千鎰), 황진(黃進), 최경회(崔慶會)를 말한다.

삼장사(三壯士)[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진주성 전투를 이끌었던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최경회(崔慶會),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황진(黃進)을 통틀어 일컬음.

삼장사(三壯士)[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진주성 전투를 이끌었던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최경회(崔慶會),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황진(黃進)을 통틀어 일컬음.

삼장사(三壯士)[한흥가라 62 페이지 / 전적]

진주성 전투를 이끌었던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최경회(崔慶會),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충청병마절도사(忠淸兵馬節度使) 황진(黃進)을 통틀어 일컬음.

삼장사(三壯士)[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몸이 우람하고 힘이 센 세 사람. 여기서는 김천일, 황진, 최경회를 말한다.

삼장사(三將士)[옥산가라 49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중 제2차 진주싸움에서 나라를 위해 충절을 다하고 장렬하게 순국한 세 명의 장사(將士)인 김천일, 황진, 김시민을 이름.

삼재(三才)[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6 페이지 / 전적]

삼원(三元). 삼극(三極). 천(天), 지(地), 인(人).

삼재(三才)[원시가(源時歌) 5 페이지 / 전적]

관상에서 이마와 코 그리고 턱을 이르는 말. 이마를 천(天), 코를 인(人), 턱을 지(地)로 본다.

삼재(三才)[몽중가(夢中歌) 1 페이지 / 전적]

관상에서 이마와 코 그리고 턱을 이르는 말. 이마를 천(天), 코를 인(人), 턱을 지(地)로 본다.

삼재(三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9 페이지 / 전적]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하늘(天)과 땅(地), 사람(人)을 가리킴.

삼재(三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삼재와 인륜(人倫). 삼재는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하늘(天)과 땅(地), 사람(人)을 가리키고, 인륜은 인관관계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질서와 도리를 뜻함.

삼재(三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9 페이지 / 전적]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하늘(天)과 땅(地), 사람(人)을 가리킴.

삼재(三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1 페이지 / 전적]

삼재와 인륜(人倫). 삼재는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하늘(天)과 땅(地), 사람(人)을 가리키고, 인륜은 인관관계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질서와 도리를 뜻함.

삼재(三災)[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세계를 파멸하는 큰 재난으로, 화재(火災) ․ 수재(水災) ․ 풍재(風災)를 이르는 말.

삼재겁(三災劫)[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삼재(三災). 앞에 든 각주 616 참조

삼재오행(三才五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삼재와 오행. 삼재(三才)란 우주의 3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천(天)ㆍ지(地)ㆍ인(人)을 가리키며, 오행(五行)은 우주(宇宙) 사이를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 원소인 ‘쇠(金)ㆍ나무(木)ㆍ물(水)ㆍ불(火)ㆍ흙(土)’을 의미함.

삼재오행(三才五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5 페이지 / 전적]

삼재와 오행. 삼재(三才)란 우주의 3가지 근원을 뜻하는 말로, 천(天)ㆍ지(地)ㆍ인(人)을 가리키며, 오행(五行)은 우주(宇宙) 사이를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 원소인 ‘쇠(金)ㆍ나무(木)ㆍ물(水)ㆍ불(火)ㆍ흙(土)’을 의미함.

삼재지덕(三才之德)[경화가(警和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 ․ 땅 ․ 사람의 덕.

삼재지덕(三才之德)[경화가(警和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 ․ 땅 ․ 사람의 덕.

삼재지리(三才之理)[창덕가2 30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천ㆍ지ㆍ인 삼재를 근본으로 삼는 원리.또는 이 세 가지 사이에 있는 일정한 원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