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중대광(三重大匡)[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둔 정일품의 문관 품계이다. 충렬왕 34년(1308)에 정일품으로 정하고, 공민왕 5년(1356)에 없앴다가 다시 11년(1362)에 정일품 하(下)로 고치고, 18년(1369)에 종일품 상(上)으로 고쳤다.
삼중석(三重席)[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세 겹으로 겹쳐 깔아 놓은 좌석. 극진한 예로써 대접할 때 씀.
삼중석(三重席)[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삼중으로 깔아 놓은 접대용 좌석.
삼중석(三重席)[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삼중으로 깔아 놓은 접대용 좌석.
삼중석(三重席)[뎡슝샹회방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세 겹으로 겹쳐 깔아 놓은 좌석. 극진한 예(禮)로써 대접할 때 쓴다.
삼중석(三重席)[춘몽가(츈몽가) 43 페이지 / 전적]
세 겹으로 겹쳐 깔아 놓은 좌석.극진한 예(禮)로써 대접할 때 씀.
삼중석(三重席)[춘몽가(츈몽가) 43 페이지 / 전적]
세 겹으로 겹쳐 깔아 놓은 좌석.극진한 예(禮)로써 대접할 때 씀.
삼중창(三重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창종(瘡腫)를 한꺼번에 앓는 것.
삼중창(三重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창종(瘡腫)를 한꺼번에 앓는 것.
삼중창(三重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창종(瘡腫)를 한꺼번에 앓는 것.
삼지일(三之日)[경영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사흘.
삼진(三晉)[녁대가(녁가) 3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말기에 진(晉)나라를 받든 세 재상인 위사(魏斯), 조적(趙籍), 한건(韓虔)이 각각 세운 위(魏)나라, 조(趙)나라, 한(韓)나라를 이르는 말.
삼진일[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짓날.
삼진일[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짓날.
삼짇날[관등가(觀燈歌) 2 페이지 / 전적]
삼월 삼질. 삼월 삼짇날. 상사(上巳). 음력 3월 초사흗날.
삼짇날[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삼월 삼질. 삼월 삼짇날. 상사(上巳). 음력 3월 초사흗날.
삼짇날[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삼월 초사흗날.
삼짇날[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삼월 초사흘날.
삼짇날[환무자탄가 29 페이지 / 전적]
음력 3월 초사흗날,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 하여 제비집을 손질하고,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풍습이 있다.
삼차정사(三次正使)[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세차례에 걸쳐 사신 가운데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