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족(三族)[한흥가라 31 페이지 / 전적]

부(父), 자(子), 손(孫)을 통틀어 일컫는 말.

삼족(三族)[한흥가라 31 페이지 / 전적]

부(父), 자(子), 손(孫)을 통틀어 일컫는 말.

삼족(三族)[한양가라 29 페이지 / 전적]

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족지도[조심가라 28 페이지 / 전적]

삼종지도(三從之道). 봉건시대의 여자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음을 이름.

삼족지도[조심가라 28 페이지 / 전적]

삼종지도(三從之道). 봉건시대의 여자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음을 이름.

삼종(三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8 페이지 / 전적]

「三從」―儀禮에「婦人에겐 三從의 義가 있고 專制의 道는 없다.그러므로 未嫁하면 從夫하고 旣嫁하면 從夫하고 夫死하면從子한다」라 했음.

삼종(三從)[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음.

삼종(三從)[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했다.

삼종(三從)[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음.

삼종(三從)[해몽가라(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세 가지 따라야 할 것.

삼종(三從)[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했다.

삼종(三從)[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삼종(三從)[별한가 32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삼종지도(三從之道)와 같은 말.

삼종법(三從法)[의향소창가 5 페이지 / 전적]

삼종지의(三從之義)

삼종법(三從法)[리행소챙가 1 페이지 / 전적]

삼종지의(三從之義)

삼종손녀(三從孫女)[가야희인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칠촌 조카의 딸.

삼종을[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를.

삼종제(三從弟)[경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팔촌이 되는 동생.

삼종제(三從弟)[경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팔촌이 되는 동생.

삼종지도(三従之道)[거취가(去取歌) 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함을 일컬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