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재지리(三才之理)[창덕가2 31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천ㆍ지ㆍ인 삼재를 근본으로 삼는 원리.또는 이 세 가지 사이에 있는 일정한 원리.
삼재팔난(三災八難)[고분가 16 페이지 / 전적]
삼재(三災)'와 '팔난(八難)' 곧 모든 재난.'팔난(八難)'은 여덟 가지의 재난.곧 배고픔,목마름,추위,더위,물,불,칼,병란(兵亂)의 여덟 가지의 재난.혹은 부처를 보지 못하고 불법(佛法)을 들을 수 없는 여덟 가지의 곤란, 즉 지옥(地獄), 축생(畜生), 아귀(餓鬼), 장수천(長壽天), 맹롱음아, 울단월(鬱單月), 세지변총(世智辨聰), 생재불전불후(生在佛前佛後)을 이른다.
삼재팔난(三災八難)[고분가 16 페이지 / 전적]
삼재(三災)'와 '팔난(八難)' 곧 모든 재난.'팔난(八難)'은 여덟 가지의 재난.곧 배고픔,목마름,추위,더위,물,불,칼,병란(兵亂)의 여덟 가지의 재난.혹은 부처를 보지 못하고 불법(佛法)을 들을 수 없는 여덟 가지의 곤란, 즉 지옥(地獄), 축생(畜生), 아귀(餓鬼), 장수천(長壽天), 맹롱음아, 울단월(鬱單月), 세지변총(世智辨聰), 생재불전불후(生在佛前佛後)을 이른다.
삼재팔란(三災八難)[궁월가라 11 페이지 / 전적]
모든 재앙과 곤란.
삼재팔란(三灾八亂)[도덕가(道德歌) 5 페이지 / 전적]
삼재팔란(三災八亂). 삼재(三災)는 불길한 운성(運星)으로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를 말함
삼전사[팔역가(八域歌) 48 페이지 / 전적]
서울과 광주를 이어주던 나루, 삼전도
삼절위편(三絶韋編)[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공자가 가죽 끈으로 묶은 책을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읽었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말로 한권의 책을 수 십 번 되풀이해서 읽는 것을 뜻한다.
삼절위편(三絶韋編)[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공자가 가죽 끈으로 묶은 책을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읽었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말로 한권의 책을 수 십 번 되풀이해서 읽는 것을 뜻한다.
삼정[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삼정(三正).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삼정(三精)[허후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해와 달과 별의 세가지를 이르는 말로 별은 특히 북두칠성을 이른다.
삼정가(三丁價)[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2 페이지 / 전적]
① 세 사람의 장정. ② 상자를 넣기 위해 노끈으로 망태처럼 만든 물건, 또는 상자를 싸기 위해 노끈으로 엮어 만든 보.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쓰인 것 같다.
삼정승[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6 페이지 / 전적]
의정부에서 국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세 벼슬.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삼정승(三政丞)[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의정부에서 국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세 벼슬로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삼제(三際)[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삼세(三世). 과거 ․ 현재 ․ 미래. 또는, 전세 ․ 현세 ․ 내세.
삼제(三際)[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과거·현재·미래의 총칭. (=삼세(三世))
삼제(三際)[셩경가 3 페이지 / 전적]
과거·현재·미래의 총칭. (=삼세(三世))
삼조(三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20 페이지 / 전적]
「三朝」- 周 文王이 世子로 있을 적에 王季에게 朝謁하기를 하루에 세차례씩 하 였다 하였음.
삼조선(三朝鮮)[옥설가 48 페이지 / 전적]
세 개의 조선. 즉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을 말하는 듯함.
삼조팔억(三兆八億)[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많은 사람들.
삼족(三族)[한흥가라 31 페이지 / 전적]
부(父), 자(子), 손(孫)을 통틀어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