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종지도(三從之道)[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이다.

삼종지도(三從之道)[가사소리 1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삼종지례(三從之禮)[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봉건시대의 여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좇으라는 것. 삼종지도(三從之道).

삼종지례(三從之禮)[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봉건시대의 여자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음을 이름.

삼종지례(三從之禮)[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봉건시대의 여자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음을 이름.

삼종지례(三從之禮)[해몽가라(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즉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음.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임.

삼종지례(三從之禮)[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 어려서는 어버이께 순종하고, 시집가서는 남편에게 순종하고, 남편이 죽은 뒤에는 아들을 따르는 도리.

삼종지법(三從之法)[춘화추동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예기(禮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 여자가 지켜야 하는 세가지 법도. 어려서는 어버이를 따르고, 시집가서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른다는 것.

삼종지법(三從之法)[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6 페이지 / 전적]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했음.『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

삼종지법(三從之法)[한별곡 4 페이지 / 전적]

삼종지도(三從之道).여자(女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여자(女子)는 어려서 어버이께 순종(順從)하고 시집가서는 남편(男便)에게 순종(順從)하고, 남편(男便)이 죽은 뒤에는 아들을 따르는 도리.

삼종지의(三從之義)[오륜가라 24 페이지 / 전적]

여자(女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도리(道理). 곧, 어려서는 아버지를 좇고, 시집가서는 남편(男便)을 좇고, 남편(男便)이 죽은 뒤에는 아들을 좇음.

삼종지의(三從之義)[복션화음록 6 페이지 / 전적]

삼종지도(三從之道). 봉건시대에 여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덕목. 어려서는 부모를 따르고 시집 가서는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좇아야 한다는 것.

삼종지의(三從之義)[붕우들아춘회굑 5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여자가 지켜야 했던 도리. 어려서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음을 이름.

삼종지의(三從之義)[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봉건(封建) 시대(時代) 여자(女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도리(道理), 곧, 어려서는 아버지를 좇고, 시집가서는 남편(男便)을 좇고, 남편(男便)이 죽은 뒤에는 아들을 좇음.삼종지도(三從之道).

삼종지의(三從之義)[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했음.《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

삼종지의(三從之義)[벽천가 18 페이지 / 전적]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했음.

삼종지의(三從之義)[김씨효행가 38 페이지 / 두루마리]

삼종지도(三從之道).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음.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임.

삼종지의(三從之義)[별한가 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함을 가리킴. 삼종지도와 같은 말.

삼종형제(三從兄弟)[인일가라 4 페이지 / 전적]

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름.

삼종의(三從大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삼종지도(三從之道)의 큰 진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