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사(三司)[송강집(松江集四)4 36 페이지 / 전적]

홍문관(弘文館) 사간원(司諫院) 사헌부(司憲府).

삼사(三司)[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3 페이지 / 전적]

전곡의 출납과 회계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삼사(三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8 페이지 / 전적]

「三辭」― 初辭는 禮辭요 再辭는 固辭요 三辭는 終辭임.

삼사년(三四年) 내려오며[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수령 이재가의 재임기간을 말함.

삼사년(三四年) 내려오며[거창가 17 페이지 / 전적]

수령 이재가의 재임기간을 말함.

삼사성(三司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전곡(錢穀)의 출납과 회계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현종 5년(1014)에 도정사로 고쳤다가 14년(1023)에 환원하였으며, 공민왕 5년(1356)에 상서성으로 다시 고쳤다가 11년(1362)에 또 환원하였다.

삼사차[경노의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서너번.

삼사촌(三四寸)[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삼촌 혹은 사촌지간.

삼삭(三朔)[리행소챙가 86 페이지 / 전적]

석 달.

삼산(三山)[ 1 페이지 / ]

삼신산. 곧 봉래.방장.영주 등으로 신선이 산다는 전설상의 산.

삼산(三山)[석천집(石川集二-三)2-3 60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산다는 봉래(蓬萊), 방장(方丈), 영주(瀛洲)의 세 산.

삼산(三山)[석천집(石川集二-五)2-5 97 페이지 / 전적]

삼신산(三神山). 신선이 살고 있다는 세 산. 전설에서는 발해(渤海) 안에 있다는봉래(蓬萊), 방장(方丈), 영주(瀛州)를 말하기도 하고, 우리 나라의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을 지칭하기도 함.

삼산(三山)[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삼신산.

삼산(三山)[고분가 20 페이지 / 전적]

삼신산.

삼산(三山)[회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신산(三神山), 중국 전설에 나오는 봉래산, 방장산, 영주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진시황과 한무제가 불로불사 약을 구하기 위하여 수천명의 동남동녀를 보냈다고 한다. 이 이름을 본떠 우리나라의 금강산을 봉래산, 지리산을 방장산, 한라산을 영주산이라 이르기도 한다.

삼산(三山)이랑 십주(十洲)[송강집(松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사는 곳

삼산三山[ 1 페이지 / ]

삼심산. 곧 신선이 살고 있다는 세 산. 봉래산봉래산, 방장산방장산, 영주산영주산, 우리나라의 금강산, 지리산,한라산을 말하기도 한다.

삼산三山[ 1 페이지 / ]

삼신산 곧 신선이 살고 있다는 산 담양의 삼인산.

삼산반락(三山半落) 청천외(靑天外)[죽엽가(쥭엽가) 6 페이지 / 전적]

삼산(三山)은 청천(靑天) 밖으로 반쯤 걸려 있고.

삼산불로초(三山不老草)[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삼산(三山)은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州山)을 말하며, 불로초(不老草)는 진시황(秦始皇)이 말년에 자신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동남동녀(童男童女)시켜 구하고자 하는 식물로 이는 신선이 사는 선경(仙境)에 있다는 약초라 한다. 따라서 불로초를 먹으면 불로장생(不老長生)한다고 여겼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