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남(三南)[회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총칭.
삼남자손(三男子孫)[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4 페이지 / 전적]
세 아들의 자손들이 (다 죽는다.)
삼년[팔역가(八域歌) 44 페이지 / 전적]
한성제, 서기 전 18년
삼년 만에 우는 새[녁대가(녁가) 23 페이지 / 전적]
불비불명(不飛不鳴)의 유래. 즉위 초 장왕(莊王)은 방탕한 생활을 하였는데, 3년째에 오거가 울지 않는 새에 관한 수수께끼를 내자, 장왕은 "그 새는 한번 울면 만인을 깜짝 놀라게 할 것이다."라고 하고, 이후 간언한 신하들을 중용하여 내정을 다졌음.
삼년거상(三年居喪)[충효가(忠孝歌) 29 페이지 / 전적]
삼년 동안 묘지 옆에서 살며 상(喪)을 치름.
삼년불성(三年不成)[창덕가2 65 페이지 / 전적]
삼 년 안에 이룩하지 못함.
삼년불성(三年不成)[창덕가2 66 페이지 / 전적]
삼 년 안에 이룩하지 못함.
삼년종예(三年終禮)[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상을 당해 삼 년 동안 거상하는 일인 삼년상(三年喪)을 말함.
삼년초토(三年草土)[창덕가2 41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상을 당해 삼 년 동안 거상하는 일.
삼년초토(三年草土)[창덕가2 42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상을 당해 삼 년 동안 거상하는 일.
삼년회중(三年懷中)[해몽가라(몽가라) 15 페이지 / 전적]
태어난 뒤 삼 년 동안 부모님의 정성스런 돌봄으로 사람 구실을 하게 됨.
삼농(三農)[팔도안희가 13 페이지 / 전적]
‘농사’를 달리 부르거나 또는 봄갈이, 여름 갈이, 추수로 이루어진 세 단계의 농사를 말한다. 봄날 쑥꾹새가 삼농을 재촉한다는 말은 “동쪽 집에서는 쟁기 얻고, 서쪽 집에서는 호미 얻고, 그리고 집에 들어가 씨앗을 마련하여 농사를 서둘러 짓는다”는 뜻을 지닌다.
삼단[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삼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긴 섬유가 채취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삼단은 삼을 묶은 단을 말함.
삼단[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삼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긴 섬유가 채취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삼단은 삼을 묶은 단을 말함.
삼단[상사별곡(상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을 묶은 단.
삼단[상사별곡(상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을 묶은 단.
삼단고(三段高)[복션화음록 24 페이지 / 전적]
삼단(三段)으로 쌓은 높은 제단에.
삼당(三堂)[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육조의 판서, 참판, 참의를 통틀어 이르던 말.삼당상(三堂上).
삼당상(三堂上)[원유가 8 페이지 / 전적]
삼정승.
삼당상(三堂上)[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삼당상은 ① 육조의 판서, 참판, 참의를 통틀어 이르던 말.② 나라에 길례(吉禮)나 흉례(凶禮)가 있을 때에 두었던 도감(都監)의 세 제조(提調).도제조, 제조, 부제조를 의미하는데, 여기에서는 의정부라는 어휘와 연결하여 '삼당상'이 쓰였고 또 다음 행에 '이호예병형공'이라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뜻하는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