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당상(三堂上)[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삼당상은 ① 육조의 판서, 참판, 참의를 통틀어 이르던 말. ② 나라에 길례(吉禮)나 흉례(凶禮)가 있을 때에 두었던 도감(都監)의 세 제조(提調). 도제조, 제조, 부제조를 의미하는데, 여기에서는 의정부라는 어휘와 연결하여 '삼당상'이 쓰였고 또 다음 행에 '이호예병형공'이라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뜻하는 것으로 보임.
삼당역[노졍긔 30 페이지 / 전적]
삼랑진역(三浪津驛).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에 있는 기차역.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미전역과 원동역 사이에 있음.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음.
삼당역[노졍긔 30 페이지 / 전적]
삼랑진역(三浪津驛).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에 있는 기차역.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미전역과 원동역 사이에 있음.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음.
삼대[규중여자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의 줄기.
삼대[시절가 13 페이지 / 전적]
삼의 줄기.
삼대 같이[착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은 대마(大麻)이며, ‘삼대 같다’는 말은 흔히 키가 큰 삼대가 서 있는 것 같이 병사나 신장들이 엄숙하고 위엄 있게 정렬하고 서 있는 것을 형용한 말
삼대 지팡이 나무꾼이 이따금 뵈건만[석천집(石川集二-二)2-2 14 페이지 / 전적]
(원주) 이는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삼대(三代)[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하(夏),은(殷),주(周)의 세 왕조.
삼대(三代)[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하(夏),은(殷),주(周)의 세 왕조.
삼대(三代)[송강집(松江集三)3 124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의 하(夏) 은(殷) 주(周)를 말함.
삼대(三代)[석천집(石川集二-三)2-3 107 페이지 / 전적]
하(夏), 은(殷), 주(周)의 삼조(三朝).
삼대(三代)[녁대가(녁가) 51 페이지 / 전적]
하(夏), 은(殷), 주(周) 삼대를 가리킴.
삼대경천(三代敬天)[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하은주(夏殷周) 삼대 때 하늘을 공경함.
삼대경천(三代敬天)[경화가(警和歌) 20 페이지 / 전적]
하은주(夏殷周) 삼대 때 하늘을 공경함.
삼대세족(三代世族)[별교사(별교) 4 페이지 / 두루마리]
3대에 걸쳐 나라의 중요한 자리를 맡아서 특전을 누리는 집안.
삼대지덕(三代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2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 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의 덕(德).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삼대지덕(三代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2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 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의 덕(德).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삼대지치(三代之治)[효자가 10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 하(夏)·은(殷)·주(周) 세 왕조 때의 잘된 통치를 말함.
삼덕육미(三德六味)[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는 음식에 있어 육미와 삼덕의 조화를 중시함. 육미는 신맛·쓴맛·단맛·짠맛·매운맛에 부드러움을 더한 것이고, 삼덕은 청정(淸淨)·여법(如法)·유연(柔軟)을 뜻함.
삼도 팔방(三道八方)[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3 페이지 / 전적]
모든 방향 또는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