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고(三古)[조심가라 12 페이지 / 전적]
상고, 중고, 근고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고초려(三顧草廬)[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함.
삼고초려(三顧草廬)[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는 뜻으로 중국 삼국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띳집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삼고초려(三顧草廬)[몽유가(몽류가) 4 페이지 / 전적]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함.
삼고초려(三顧草廬)[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는 뜻으로 중국 삼국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띳집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삼곡(三曲)[자경별곡 10 페이지 / 전적]
노래의 제3곡이라는 뜻인데, 앞의 해제에서 지적한 본 가사의 이본에 의하면 이는 내 용상 ‘제6곡 형제우애(兄弟友愛)’에 해당한 부분이다.
삼공(三公)[ 1 페이지 / ]
삼정승三政丞. 삼상三相.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세 정승.
삼공(三公)[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국, 일본에서 근대 이전에 3개의 최고위 대신(大臣)의 직위(職位)를 나타냈던 말로, 삼태(三台), 삼괴(三槐) 등으로도 부른다. 중국의 주(周)에서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의 관직(官職)을 삼공(三公)이라 한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주(周)에서는 궁정(宮庭)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槐]를 심고 삼공(三公)이 이를 향해 앉았다고 전해진다. 때문에 삼공(三公)을 달리 삼괴(三槐), 태괴(台槐), 괴정(槐鼎) 등으로 부르고, 삼공(三公
삼공(三公)[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국, 일본에서 근대 이전에 3개의 최고위 대신(大臣)의 직위(職位)를 나타냈던 말로, 삼태(三台), 삼괴(三槐) 등으로도 부른다. 중국의 주(周)에서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의 관직(官職)을 삼공(三公)이라 한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주(周)에서는 궁정(宮庭)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槐]를 심고 삼공(三公)이 이를 향해 앉았다고 전해진다. 때문에 삼공(三公)을 달리 삼괴(三槐), 태괴(台槐), 괴정(槐鼎) 등으로 부르고, 삼공(三公
삼공불환 차강산(三公不換 此江山)[옥단춘전이라 21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의 시인 대북고의 조대시에 보이는 것으로,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삼공의 높은 벼슬과도 바꾸지 않겠다는 뜻.
삼공불환(三公不換) 차강산(此江山)[죽엽가(쥭엽가) 7 페이지 / 전적]
삼공의 벼슬이라도 이 강산과 바꾸지 않으리.
삼공불환차강산(三公不換此江山)을[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3 페이지 / 전적]
삼공의 벼슬이라도 이 강산과 바꾸지 않는 것을.
삼공위(三公位)[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0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태위(太尉)·사도(司徒)·사공(司空)의 세 벼슬.
삼공육경(三公六卿)[신정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삼정승과 육조 판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
삼과기문(三過其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그 문을 세 번 지나침.
삼과기문(三過其門)[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그 문을 세 번 지나침.
삼관 원수(三觀圓修)[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삼관(三觀)을 완전무결한 궁극적인 교범(敎法)이라 이르는 원교(圓敎)로써 수행함. 삼관(三觀) : 공(空) ․ 가((假) ․ 중(中) 등 삼제(三諦)의 진리를 관찰하는 일 .
삼광(三光)[그리져리구경하고 30 페이지 / 전적]
해와 달과 별.
삼광(三光)[송강집(松江集一)1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총명을 이름. 淮南子에「上亂三光 下失萬民之心」
삼광(三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2 페이지 / 전적]
「三光」 ― 日, 月, 星을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