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복염천(三伏炎天)[조선국퇴정문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복의 몹시 더운 날씨.삼복은 하지(夏至) 뒤의 셋째 경일(庚日)인 초복(初伏)과 넷째 경일인 중복(中伏)과 입추(立秋) 뒤의 경일인 말복(末伏)의 총칭.
삼복증염(三伏蒸炎)[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복 기간의 몹시 심한 더위. ‘삼복더위’와 같은 말.
삼복증염(三伏蒸炎)[사시풍경가라 7 페이지 / 전적]
삼복더위.
삼봉(三峰)[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3 페이지 / 전적]
세 봉우리.
삼부(三府)[축산별곡 9 페이지 / 전적]
중앙의 최고위 관직의 총칭.
삼부미록(三釜微祿)[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삼부’는 엿 말 너 되, ‘미록’은 박봉(薄俸).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박봉을 마다하지 않고 벼슬살이 하는 것
삼부탕(蔘附湯)[쳥츈상심곡(쳥츈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인삼과 부자 따위를 넣어 달여 만드는 탕약. 음양기혈에 사용.
삼분(三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9 페이지 / 전적]
「三墳」-書名임, 左傳昭公十二年 「是能讀三墳五典 八索九邱라」하였고。尙書序에는 「伏義 神農 黃帝의 書 를 三墳이라 이르는데 大道를 말함이라」하였음。
삼분사열(三分四裂)[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갈래로 흩어짐.
삼분오거[은삭가 13 페이지 / 전적]
사서삼경(四書三經)임.
삼분오거[은삭가 13 페이지 / 전적]
사서삼경(四書三經)임.
삼분할거우주책(三分割據紆籌策)[셔유곡 15 페이지 / 전적]
세나라로 나누어 한자락 차지한 계책을 세웠고 라는 뜻. 두보(杜甫)의 시 영회고적(詠懷古跡) 중 한 구절.
삼불(三佛)[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삼불거(三不去)[거취가(去取歌) 6 페이지 / 전적]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함.
삼불거(三不去)[조심가라 28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칠거지악(七去之惡)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임.
삼불거(三不去)[조심가라 28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칠거지악(七去之惡)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임.
삼불상(三不詳)[조심가라 17 페이지 / 전적]
상서롭지 못한 세 가지 일.
삼불상(三不詳)[조심가라 17 페이지 / 전적]
상서롭지 못한 세 가지 일.
삼불암(三佛岩)[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內剛里) 봉래동(蓬萊洞)에 있는 마애불(磨崖佛) 바위. 북한 보물급 41호. 삼각형의 바위 앞면에 나옹선사가 부처 셋을 새김.
삼사(三事)[송강집(松江集一)1 5 페이지 / 전적]
삼공(三公)을 이름. 詩經 小雅篇에「三事大夫莫肯夙夜」라 하였는데 그 주(註)에 三事는 三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