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광(三光)[론학가권지일 16 페이지 / 전적]
해와 달과 별의 세 가지를 이르는 말.
삼광(三光)[론학가권지일 16 페이지 / 전적]
해와 달과 별의 세 가지를 이르는 말.
삼광(三光)[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해와 달과
삼괴(三槐)[궁월가라 14 페이지 / 전적]
삼공(三公)'을 달리 이르는 말.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함.
삼교위사(三敎爲師)[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삼교로 스승 삼아서. 삼교는 유, 불, 도를 말함.
삼구덩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삼을 찌는 구덩이.
삼국사(三國史)의 절요(節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조선 세조 때에 착수하여 성종 7년(1476)에 노사신, 서거정, 이파 등이 완성한 삼국의 역사책으로 (立國)한 순서에 따라 기원전 57년에서 신라 경순왕 9년(935)까지 신라, 고구려, 백제의 사적(史跡)을 편년체로 적었다. 14권 7책.
삼국사기(三國史記)[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고려 인종 23년(1145)에 김부식이 왕명에 따라 펴낸 역사 책으로 신라, 고구려, 백제 세 나라의 역사를 기전체로 적었다. 본기(本紀)·연표(年表)·지류(志類) 및 열전(列傳)으로 되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 충렬왕 11년(1285)에 중 일연이 쓴 역사책이다. 단군·기자·대방·부여의 사적(史跡)과 신라·고구려·백제의 역사를 기록하고, 불교에 관한 기사·신화·전설·시가 따위를 풍부하게 수록하였다.
삼군(三軍)[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周)나라 때에 큰 제후(諸侯)가 출병시키던 상군(上軍).중군(中軍).하군(下軍). 또는 군대의 전체.
삼군(三軍)[석천집(石川集二-三)2-3 16 페이지 / 전적]
군대의 통칭. 주(周)나라 제도에 천자의 군대를 육군(六軍), 제후의 군대를 삼군(三軍)이라 함.
삼귀(三歸)[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귀의(三歸依)의 준말. 불(佛) ․ 법(法) ․ 승(僧)의 삼보(三寶)에 돌아가 의지함. 오계(五戒) : 오상(五常). 세속에 있는 신자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금계(禁 戒). 살생(殺生) ․ 투도(偸盜) ․ 사음(邪淫) ․ 망어(妄語) ․ 음주(飮酒)를 금하는 일.
삼극(三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三極」- 易 繫辭에「六爻之動 三極之道也」라 했는데 䟽에「이는 天地人 三才의 至極한 道이다」라 하였음.
삼근왕(三斤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의 제23대 왕(?~479). 478년에 해구가 반란을 일으키자 진로(眞老)로 하여금 평정하게 하였다.
삼기다[ 1 페이지 / ]
생기다. 태어나다.
삼기다[규중여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기게 하다.
삼긴[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기다. ‘생기다’의 옛말.
삼난지설(三難之設)[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61 페이지 / 전적]
삼난은 ① 세 가지 재난; ② 세 가지 어려운 일, 곧 인물(人物)을 알기 어려운 것; 애증(愛憎)을 막기 어려운 것; 정위(情僞)를 밝히기 어려운 것 등의 뜻이 있다. 여기서는 ①의 뜻인 듯 하나 확실치는 않다.
삼남[팔역가(八域歌) 15 페이지 / 전적]
충청, 전라, 경상도의 합칭
삼남 명문(三南名門)[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세 지방의 이름 있는 문벌. 또는 훌륭한 집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