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산호(山呼)[거창가라 6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山呼萬歲).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嵩山) 산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함.
산호(山呼)[아림가(娥林歌) 6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山呼萬歲).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嵩山) 산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함.
산호(山呼)[오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山呼萬歲).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嵩山) 산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산호(山呼)[가사소리 14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山呼萬歲).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嵩山) 산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산호(珊瑚)[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산호과의 강장동물이 죽은 뒤에 남은 뼈대. 가공하여 장식품을 만드는데, 예로부터 칠보(七寶)의 하나로 쳐 왔음.
산호(珊瑚)[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군체를 이루는 산호충의 개체가 죽었을 때 남는 골격. 바깥쪽은 무르고 속은 단단한 석회질로 되어 있어 겉은 긁어 버리고 속을 가공하여 장식품을 만든다. 예로부터 칠보(七寶)의 하나로 쳐 왔음.
산호만세(山呼萬歲)[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여 부르던 만세. 중국 한나라 무제(武帝)가 숭산(嵩山) 위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연유하였음.
산호만세(山呼萬歲)[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산에서 큰소리로 호령함.
산호만세(山呼萬歲)[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산에서 큰소리로 호령함.
산호산호 재산호(山呼山呼再山呼)[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를 삼창(三唱)할 때에, 두 차례의 산호에 이어 세 번째의 만세를 부르던 일. 나라의 큰 의식에 황제나 임금의 만수무강을 비는 뜻으로 신하들이 일제히 두 손을 치켜들고 ‘만만세(萬萬歲)’ 또는 ‘천천세(千千歲)’라 외쳤음.
산호산호 재산호(山呼山呼再山呼)[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산호만세를 삼창(三唱)할 때에, 두 차례의 산호에 이어 세 번째의 만세를 부르던 일. 나라의 큰 의식에 황제나 임금의 만수무강을 비는 뜻으로 신하들이 일제히 두 손을 치켜들고 ‘만만세(萬萬歲)’ 또는 ‘천천세(千千歲)’라 외쳤음.
산호수(珊瑚樹)[사미인곡 6 페이지 / 전적]
나뭇가지 모양의 산호.
산호슈[ 1 페이지 / ]
산호수珊瑚樹. 나뭇가지처럼 생긴 산호. 산호는 예로부터 칠보七寶의 하나로 쳐 왔다.
산호장도(珊瑚粧刀)[망부가 18 페이지 / 전적]
칼집과 자루를 산호로 만든 장도.
산화[개화별곡이라 12 페이지 / 전적]
산하(山河)임. 산천.
산화 작작(山花灼灼) 난만개(爛漫開)[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화려하고 찬란한 산꽃 만발하여 한창 흐드러짐.
산화 홍금(山花紅錦)[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산속에 피는 꽃이 홍색의 명주로 고움.
산효야속(山肴野蔌)[화전가1 11 페이지 / 전적]
산에서 캔 나물, 들에서 캔 푸성귀. 봄 내음 물씬 풍기는 술안주.
산효야속(山肴野蔌)[화전가2 11 페이지 / 전적]
산에서 캔 나물, 들에서 캔 푸성귀. 봄 내음 물씬 풍기는 술안주.
산후신위(山後神位)[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인(故人)을 장사(葬事)를 지낸 후 영혼이 의지할 자리인 신주(神主)를 모셔두는 자리를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