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살손[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할 때 연장이나 다른 물건을 쓰지 않고 직접 대서 만지는 손.
살수(薩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3 페이지 / 전적]
청천강의 옛 이름.
살수대첩(薩水大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3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영양왕 23년(612)에 고구려와 중국 수나라가 살수에서 벌인 큰 싸움. 수나라의 양제가 고구려를 정복하려고 200만의 대군을 인솔하고 쳐들어왔으나, 을지문덕 장군이 지휘한 고구려 군사가 살수를 건너온 수나라의 별동대 30만 5000여 명을 몰살하였다.
살아내어[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씻어내어.
살아서는 바다의 미적추라 불렸고[석천집(石川集二-二)2-2 117 페이지 / 전적]
민중들에게는 대장군이라 불려 신으로 모셔졌지만, 당시 관에서는 그를 조운선의 쌀이나 훔치는 도둑 두목으로 파악했던 것 같다. 송대장군에 대한 설화와 고증은 임형택 교수의<<이조시대 서사시>> (창작과 비평사 1992)에 자세히 실려 있다.
살아온데[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왔는데.
살아자(殺我者)[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7 페이지 / 전적]
나를 죽이는 것.
살오면서[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오면서
살옥(殺獄)[오륜가라 10 페이지 / 전적]
사람을 죽인 큰 사건(事件).
살인자사(殺人者死)[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6 페이지 / 전적]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을 당한다.
살자영도(殺子嬰屠)[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살자영도함양(殺子嬰屠咸陽). 자영은 진왕의 이름, 함양에서 황우에 의해 죽임을 당함.
살진 말 가벼운 가죽옷[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7 페이지 / 전적]
비마경구(肥馬輕裘)를 이름. 부귀한 사람들에게 소용되는 것.
살창[츄억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좁은 나무나 쇠오리로 살을 대어 만든 창.
살창[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가는 나무나 쇠 오리로 살을 대어 만든 창.
살처(殺妻)[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제(齊)나라가 노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오기(吳起)는 제나라 여자를 아내로 삼고 있었는데 의심을 받는다고 아내를 죽여 노나라에 대한 충성을 나타낸 뒤, 노나라 장군으로서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였음.
살처구장(殺妻求將)[한흥가라 93 페이지 / 전적]
아내를 죽여 장수가 된다는 뜻으로, 명성이나 이익을 얻기 위하여 흉악하고 잔인한 수단을 망설이지 않고 사용함을 비유.
살처구장(殺妻求將)[한양가라 92 페이지 / 전적]
아내를 죽이고 장수되기를 구하다.
살평상(平床)[환행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바닥에 통나무를 대지 않고 좁은 나무오리나 대오리의 살을 일정하게 사이를 두고 박아 만든 평상.
살평상(平床)[환행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바닥에 통나무를 대지 않고 좁은 나무오리나 대오리의 살을 일정하게 사이를 두고 박아 만든 평상.
살포시[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3 페이지 / 두루마리]
드러나지 않게 살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