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강오륜[효자가 5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綱)인 三綱(삼강)과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인 오륜(五倫)을 삼강오륜이라 한다. 곧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이며, 오륜은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을 말한다.
삼강오륜(三綱五倫)[팔도안희가 17 페이지 / 전적]
유교(儒敎) 도덕(道德)의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의 인륜을 이르는 말이다. 삼강(三綱)은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군위신강(君爲臣綱),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 부위부강(夫爲婦綱), 부모와 자식의 관계로 부위자강(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道理)로 삼았다. 오륜(五倫)은 유교 실천도덕에서 기본(基本)이 되는 다섯 가지의 인륜을 말하며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오륜(三綱五倫)[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서,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사이의도리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곧 군신유의(君臣有義),부자유친(父子有親),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오륜(三綱五倫)[삼강오륜가 서 2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서,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사이의 도리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곧 군신유의(君臣有義),부자유친(父子有親),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오륜(三綱五倫)[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7 참조.
삼강오륜(三綱五倫)[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7 참조.
삼강오륜(三綱五倫)[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7 참조.
삼강오륜(三綱五倫)[ 1 페이지 / ]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서,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사이의 도리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곧 군신유의(君臣有義)·부자유친(父子有親)·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오륜(三綱五倫)[자경별곡(自警別曲) 3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로서,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 사이의 도리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곧 군신유의(君臣有義)·부자유친(父子有親)·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오륜(三綱五倫)[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오륜(三綱五倫)[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오륜(三綱五倫)[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강과 오륜. 삼강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도리로 곧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 즉 군신(君臣) 사이의 의리,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삼강오륜(三綱五倫)[여자행신가 17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부자유친(父子有親)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름. 군신유의(君臣有義)는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름. 부부유별(夫婦有別)은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름. 장유유서(長幼有序)는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름. 붕우유신(朋友有信)은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
삼강오륜(三綱五倫)[이화가젼 3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은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을 이름.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을 이름.
삼강오륜(三綱五倫)[몽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강(三綱)은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이름. 오륜(五倫)은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삼강오륜(三綱五倫)[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ㆍ부위자강(父爲子綱)ㆍ부위부강(夫爲婦綱)이고,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ㆍ군신유의(君臣有義)ㆍ부부유별(夫婦有別)ㆍ장유유서(長幼有序)ㆍ붕우유신(朋友有信)임.
삼강오륜(三綱五倫)[메물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儒敎) 도덕(道德)의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綱領)과 다섯 가지의 인륜을 이르는 말로, ①삼강(三綱)은 유교(儒敎) 도덕(道德)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로서,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남편(男便)과 아내(夫爲婦綱), 부모(父母)와 아들(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道理) ②오륜(五倫)은 유교(儒敎) 실천(實踐) 도덕(道德)에 있어서 기본(基本)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을 말함
삼강오륜(三綱五倫)[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며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을 말한다.
삼강오륜(三綱五倫)[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강과 오륜. 삼강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도리로 곧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오륜은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인륜. 즉 군신(君臣) 사이의 의리, 부자(父子) 사이의 친애(親愛), 부부(夫婦) 사이의 분별(分別), 장유(長幼) 사이의 차서(次序), 붕우(朋友) 사이의 신의(信義).
삼강오륜(三綱五倫)[여자행신가 17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부자유친(父子有親)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름. 군신유의(君臣有義)는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름. 부부유별(夫婦有別)은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름. 장유유서(長幼有序)는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름. 붕우유신(朋友有信)은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