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살포시[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3 페이지 / 두루마리]
드러나지 않게 살며시.
살해(殺害)[한양가라 18 페이지 / 전적]
사람을 헤쳐 죽임.
살해지심(殺害之心)[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사람을 죽여 잡아먹고자 하는 마음.
살해지심(殺害之心)[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사람을 죽여 잡아먹고자 하는 마음.
살활종탈(殺活縱奪)[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며, 주기도 하고 빼앗기도 함.
삶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못자리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처음 삶은 논에 볍씨를 뿌리는 일.
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三千臣」- 書經 泰誓에 「受有臣億萬 惟億萬心 予有臣三千 惟一心」이라 하였음.
삼[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麻), 베옷.
삼 철[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세 철, 세 계절.
삼(參)[송강집(松江集六)6 6 페이지 / 전적]
증자(曾子)의 이름
삼(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2 페이지 / 전적]
「參橫月落」―參은 별 이름인데 二十八宿의 하나임.
삼?연분(三生緣分)[회경가 18 페이지 / 전적]
전생(前生), 현생(現生), 내생(來生)을 뜻하는 삼생에 걸친 인연을 말하는 것으로 부부의 인연을 말함
삼가[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경남 합천의 삼가면
삼가 풍기선생에게 올림(敬呈豊基先生) 퇴계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8 페이지 / 전적]
「退溪」- 李滉의 字는 景浩요 眞寳人인데 學者들이 退溪先生이라 稱한다. 中宗 戊子에 進士에 合格하고 甲午에 文科에 登第하여 벼슬은 大提學 左賛成을 歷任하고 東方의 儒宗이며 諡는文純이요 文廟에 從祀하다
삼가(三加)[송강집(松江集三)3 88 페이지 / 전적]
옛적 관례 때에 세번 관(冠)을 바꾸어 쓰는 예(禮)가 있으니 처음은 치포관(緇巾冠) 다음은 피변(皮弁) 또 다음은 작관(爵冠)을 씀.
삼가(三嘉)[거창가라 20 페이지 / 전적]
현재 경남 합천군 남부에 있는 면.
삼가(三嘉)[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현재 경남 합천군 남부에 있는 면.
삼가이(三可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89 페이지 / 전적]
「三可移」-孝經傳 十一章에 「孔者曰 君子之事親孝故忠可移於君事兄弟故順可移於長 居家理 故治可移於官」이라 하였음。
삼가일촌(三家一村)[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4 페이지 / 전적]
집이 3채가 모이면 하나의 마을이 된다.
삼각산 (三角山)[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북한산’의 다른 이름.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의 세 봉우리가 있어 이렇게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