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강오륜(三綱五倫)[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를 일컫는다.
삼강오륜(三綱五倫)[벌교사(벌교) 13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오륜(三綱五倫)[봉별가 3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오륜(三綱五倫)[축원하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삼강오륜(三綱五倫)[무제(양신택졍하여) 14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이며,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임.
삼강오륜(三綱五倫)[별한가 1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도덕의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이며,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임.
삼강오륜(三綱五倫),만선백행(萬善百行)[자경별곡 6 페이지 / 전적]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큰 줄거리.([삼강오륜가]의 주7 참조),온갖 착한 일과 행실
삼강오륜(三綱五常)[궁장가(宮墻歌) 4 페이지 / 전적]
유교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을 말함.
삼강오상(三綱五常)[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
삼강오상(三綱五常)[화전가1 15 페이지 / 전적]
三綱은 유교의 도덕에 있어서 기본 되는 세 가지 강(綱)으로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五常은 仁義禮智信.
삼강오상(三綱五常)[화전가2 15 페이지 / 전적]
三綱은 유교의 도덕에 있어서 기본 되는 세 가지 강(綱)으로서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五常은 仁義禮智信.
삼강오상(三綱五常)[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삼강은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이르며, 오상은 오륜(五倫)과 같은 말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름
삼강이[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 임금과 신하(군위신강-君爲臣 綱), 부모와 자식(부위자강-父爲子綱), 남편과 아내(부위부강-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임.
삼강이[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 임금과 신하(군위신강-君爲臣 綱), 부모와 자식(부위자강-父爲子綱), 남편과 아내(부위부강-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임.
삼강팔조(三綱八條)[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학』의 가르침. 삼강령은 세 가지 강령으로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 지어지선(止於至善)을 이르며, 팔조목(八條目)은 여덟 가지 조목으로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이른다.
삼강행실(三綱行實)[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조선시대에 설순 등이 왕명에 따라 펴낸 책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 부자(父子), 부부간에 모범이 될 충신, 효자, 열녀들을 각각 35명씩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였다. 세종 14년(1432)에 간행되었으며, 성종 12년(1481)에는 한글로 풀이한 언해본이 간행되었다. 3권 1책.
삼개[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삼개나루로 지금의 서울 마포(麻浦)
삼개[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삼개나루로 지금의 서울 마포(麻浦)
삼개합천[거창가 15 페이지 / 전적]
삼개는 현재 경남 합천군 남부에 있는 면으로 소재지는 일부리(一部里). 합천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군. 거창과 인접해 있으며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 초계군(草溪郡), 삼가현(三嘉縣) 등 3개의 군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
삼개합천[거창가 15 페이지 / 전적]
삼개는 현재 경남 합천군 남부에 있는 면으로 소재지는 일부리(一部里). 합천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군. 거창과 인접해 있으며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 초계군(草溪郡), 삼가현(三嘉縣) 등 3개의 군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