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겨나서[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겨나서의 뜻.
삼겨시니[만수가(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기게 하였으니.
삼겨시니[만수가(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기게 하였으니.
삼경(三京)[송강집(松江集六)6 14 페이지 / 전적]
한양, 개성, 평양.
삼경(三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三徑」- 處士의 文徑을 이름. 漢 蔣詡의 字는 元卿인데 일찌기 자기 집앞 竹林아래 三徑을 만들어서, 故人 求仲과 羊仲이從遊하였으므로 이에 起因된 말임. 陶淵明의 歸去來辭에「三徑就荒 松菊猶存」이라 하였음.
삼경(三更)[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
삼경(三更)[잣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밤 11시부터 1시 사이.
삼경(三更)[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
삼경(三更)[잣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밤 11시부터 1시 사이.
삼경(三更)[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6 페이지 / 전적]
밤을 다섯 등분하여 나눈 단위. 삼경은 밤 11시에서 1시를 말한다.
삼경(三更)[한탄가 5 페이지 / 전적]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셋째 부분(部分). 곧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의 동안.
삼경(三更)[갑지녹이라 8 페이지 / 전적]
하오 열한 시부터 이튿날 상오 한 시까지.
삼경(三更)[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눠 세번째의 시각. 밤 열 한 시부터 새벽 한 시까지의 사이.
삼경(三更)[소상팔경가 7 페이지 / 전적]
한밤 11시부터 1시 경.
삼경(三更)[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것의 세 번째 부분으로 밤 열한시에서 새벽 한시 사이이다.
삼경(三更)[낙향이별가 4 페이지 / 전적]
하룻밤을 오경으로 나눈 셋째부분으로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이다.
삼경(三逕)[송강집(松江集二)2 75 페이지 / 전적]
도잠(陶潛)의 歸去來辭에 「三逕就荒」이라 하였음.
삼경(三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1 페이지 / 전적]
「三逕」―處士의 隱居를 말함. 三輔決錄에「蔣詡字元鄕 舍中竹下開三徑 惟求仲羊仲 與之遊」라 하였음.
삼경사경(三更四更)[경게가라 4 페이지 / 전적]
삼경은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임. 사경은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임.
삼경사경(三更四更)[경게가라 4 페이지 / 전적]
삼경은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임. 사경은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넷째 부분.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