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산신(山神)님[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산신령.

산신(産神)[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2 페이지 / 전적]

삼신(三神). 삼신할머니.

산신전(山神殿)[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산신을 모셔놓은 전각.

산신지전(山神之前)[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산신님 앞에.

산신평토(山神平土)[환무자탄가 8 페이지 / 전적]

산신께 축문을 읽고 관을 묻은 뒤에 흙을 쳐서 땅을 평지와 같이 평평하게 함.

산실과(山實果)[자치가라 25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이나 들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 열매나 과일.

산악에……같구나[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6 페이지 / 전적]

순 임금이 순행하다가 죽은 것은 황제씨(黃帝氏)가 정호 (鼎湖)에서용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 것과 같다는 말.《史記 封禪書》

산야山野[ 1 페이지 / ]

자연으로 있는 산과 들

산야과목(山野果木)[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산과 들의 과실나무에

산약(山藥) 택사(澤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마의 뿌리. 무논·밭·습지에서 나는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또는 이의 덩이뿌리.

산양(山陽)[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산의 양지. 곧, 산의 남쪽 편. 자규(子規) : 두견이. 소쩍새.

산양적(山陽笛)[송강집(松江集三)3 14 페이지 / 전적]

옛 벗을 생각하는 데 쓰는 말임. 晋書 向秀傳에 향수(向秀)가 산양(山陽)의 옛집을 지나니 이웃 사람이 젓대를 부는 자 있어 소리가 요량(嘐亮)하므로 수(秀)는 이에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다 하였음.

산에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7 페이지 / 전적]

「山榛隰苓」―詩經 衛風 簡兮에「山有榛兮 隰有苓 云誰之思 四方美人」이란 句가 있음.

산역(山役)[자치가 20 페이지 / 전적]

시체를 묻고 묘를 만들거나 이장하는 일.

산영루(山映樓)[관동별곡 10 페이지 / 전적]

유점사 앞 계류를 가로질러 세워진 누각.

산옹(仙翁)[성산별곡 4 페이지 / 전적]

산촌에 사는 늙은이. 김성원을 가리킴.

산옹(山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88 페이지 / 전적]

「山翁葛彊」-山簡은 晋 河內懷人인데 字는 季倫이요 山濤의子이다. 征南將軍이 되어 襄陽을 鎭守할때 매양 高陽 習家池에나가 노닐며 술을 마시면 문득 大醉하여 돌아왔다. 그 歌에『山公時一醉 逍遙高陽池 日暮倒載歸 酩酊無所知 時時騎白馬倒著白接䍦 擧鞭謝葛彊 何似幽並兒』라 했음.

산용(山容)[장씨부인역사라 13 페이지 / 전적]

산형(山形).

산용(山容)[장씨부인역사라 13 페이지 / 전적]

산형(山形).

산용(山容)[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산의 형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