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산우계풍권조사(山雨溪風捲釣絲)라[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3 페이지 / 전적]
산에 비 내리고 시내에 바람 불 때 낚싯줄 걷음이라.
산운山雲[ 1 페이지 / ]
산에 낀 구름
산월강풍(山月江風)[ 1 페이지 / ]
산간山間의 명월과 강상江上의 청풍. 산 위에 떠오는 밝은 달과 강 위에 시원하게 부는 맑은 바람.
산월섬섬하동방(山月纖纖下洞房)[한양가라 25 페이지 / 전적]
산머리에 돋은 달이 동방으로 내려오고
산유(山遊)[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탈을 쓴 광대가 산대에서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재담을 하는 가면극을 말하며, 여기서는 산에서 노는 것을 말한다.
산유화(山有花)[송강집(松江集七)7 146 페이지 / 전적]
백제(百濟)때의 유행속곡으로 노래만이 전하고 가사는 없다.「山有花百濟曲也有音而無調」
산유화(山有花)[조선국퇴정문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①농가(農歌)의 하나.백제(百濟)의 서울 부여(扶餘)에서 예로부터 전(傳)하는 노래.조선(朝鮮) 19대 숙종(肅宗) 때 널리 유행(流行)하였다 함 ②영남(嶺南) 지방(地方)에서 전(傳)하는 민요(民謠), 경북(慶北) 선산읍의 산 색시가 남편(男便)에게 소박(疏薄)을 당(當)하고 낙동강(洛東江) 물에 빠져 죽으려고 할 때에 나물 캐던 계집아이를 만나 노래를 지어 가르쳐 주고 부모(父母)에게 전(傳)해 달라 이르고 죽었다 하는 데 뒤에 사람들이 이 노래를
산윷[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윷놀이의 한 방식, 산가지를 규정대로 벌여 놓고, 윷을 던져 나온 수대로 산가지를 거두어들여 이를 많이 차지한 편이 이긴다.
산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3 페이지 / 전적]
「孱顔」- 山의 높은 모양을 말함. 歐陽脩의 詩에「空壁更孱顔」이 있음.
산음(山蔭)인가 수음(水蔭)인가[용담가 3 페이지 / 전적]
산의 음덕인가, 물의 음덕인가.
산음(山蔭)인가 수음(水蔭)인가[용담가라 4 페이지 / 전적]
산과 물의 도와줌. 지기(地氣)의 베풀어주는 도움.
산음(山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2 페이지 / 전적]
「山陰」―晋 王子猷가 山陰月夜에 조각배를 타고 戴安道를 찾아 剡溪에 닸던 故事를 引用한 것임。상세한 것은 뒤에 보임。
산음(山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3 페이지 / 전적]
「山陰」― 王子䣭의 故事로서 위에 나타나 있음.
산음(山陰)[석천집(石川集二-五)2-5 113 페이지 / 전적]
산 그늘진 곳.
산음동(山陰洞)[효자가 3 페이지 / 전적]
담양군 남면 연천리의 마을 이름. 이 작품의 주인공 효자 전우창(全禹昌)이 사는 곳으로, 천안전씨 세거지이다.
산이복합(散而復合)[도덕가(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흩어졌다가 다시 합쳐지고 하는 것
산인(散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散人」-閒散하여 세상에 쓰이는 사람이 되지 못한 것을 이름인데 莊子의「散人安知散木」에서 나운 말임. 唐 陸龜蒙이 배에다 茶竈, 筆床를 釣具를 싣고 徃來하므로 당시에 江湖散人이란 칭호를 들었음. 唐書陸龜蒙傳에 보임.
산자(橵子)[권션지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지붕 서까래 위나 고물 위에 흙을 받치기 위하여 엮어 까는 나뭇개비.
산자(饊子)[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것을 기름에 튀기고 꿀을 바른 후 그 앞뒤에 튀긴 밥풀이나 깨를 붙여 만든 유밀과의 하나.
산장불립(山墻不立)[유소가 4 페이지 / 전적]
산에 담장을 세우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