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산재(散齋) 치재(致齋) 팽양포고(烹羊炮羔) 풍비(豐備)[ 1 페이지 / ]
제관(祭官)이 치재(致齋)에 앞서 며칠 동안 근신하는 일. 제관(祭官)이 된 사람이 사흘 동안 몸을 깨끗이 가지는 일. 가사 본문 중 ‘散齊, 致齊, 齊戒’ 등에서 ‘齊’는 ‘齎’의 오자임. 설 같은 때에 양 염소 등을 잡아 잔치를 차리어 배품. 풍부하게 갖추는 것.
산재(散齋) 치재(致齋) 팽양포고(烹羊炮羔) 풍비(豐備)[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6 페이지 / 전적]
제관(祭官)이 치재(致齋)에 앞서 며칠 동안 근신하는 일. 제관(祭官)이 된 사람이 사흘 동안 몸을 깨끗이 가지는 일. 가사 본문 중 ‘散齊, 致齊, 齊戒’ 등에서 ‘齊’는 ‘齎’의 오자임. 설 같은 때에 양 염소 등을 잡아 잔치를 차리어 배품. 풍부하게 갖추는 것.
산재(散齋), 치재(致齋)[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5 페이지 / 전적]
제관(祭官)이 치재(致齋)에 앞서 며칠 동안 근신하는 일, 제관(祭官)이 된 사람이 사흘 동안 몸을 깨끗이 가지는 일.
산저쟁갈(山猪爭葛)[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멧돼지가 칡을 가지고 다툼.
산적절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8 페이지 / 전적]
산적은 쇠고기 따위를 길쭉길쭉하게 썰어 갖은 양념을 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이며, 절임은 소금, 장, 술찌끼, 설탕 등을 써서 절여만든 음식.
산전 수답(山田水畓) 상반(相半)[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산에 있는 밭(산밭)과 물이 흔하고 기름진 논(골답). 서로 반반인 것.
산전(山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산밭. 산에 있는 밭.
산전(山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산밭. 산에 있는 밭.
산전수전(山田水田)[근농가(勤農歌) 6 페이지 / 전적]
산에 있는 밭과 물이 늘 괴어 있는 논.
산전수전(山田水田)[경세가(警世歌) 2 페이지 / 전적]
산에 있는 밭과 물이 늘 괴어 있는 논.
산정(山亭)[옥산가라 11 페이지 / 전적]
산속에 지은 정자.
산제(山祭)[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9 페이지 / 전적]
산신제(山神祭)와 같은 말로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산제(山祭)[소상팔경가 17 페이지 / 전적]
산신제(山神祭).
산제(散齋)[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0 페이지 / 전적]
제사 지내기 10일 전부터 7일 동안 부정이나 마음을 산란케 하는 일을 경계하는 것.
산제불공(山祭佛供)[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산신령에게 제사를 지내고, 또 부처 앞에 공양을 하는 것.
산제불공(山祭佛供)[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산신령에게 제사를 지내고, 또 부처 앞에 공양을 하는 것.
산제불공(山祭佛供)[용담가 6 페이지 / 전적]
산신에 지내는 제사와 부처 앞에 드리는 공양.
산제불공(山祭佛供)[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2 페이지 / 전적]
산신에 지내는 제사와 부처 앞에 드리는 공양.
산조(山鳥)[소상팔경가 26 페이지 / 전적]
산새.
산죽(山竹)[ 1 페이지 / ]
산에서 나는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