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궂단말고[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귀찮다말고.

권간(權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2 페이지 / 전적]

「權奸」-秦檜를 말함. 秦檜가 金國과 和議를 力主하여 마침내 罪를 얽어 岳飛를 害하였음.

권간(權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권력(權力)과 세력(勢力)을 가진 간신(奸臣).

권고(勸告)[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하도록 권함.

권관(權管)[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4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변경지방 군사조직의 최하위단위인 진보(鎭堡)에 두었던 종 9품의 수장(守將).

권구(眷口)[츄억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집에 사는 식구.

권구(眷口)[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권속(眷屬)’과 같은 말로 한집에 사는 식구.

권구(眷口)[심심가(尋心歌) 52 페이지 / 전적]

한집에 사는 식구.

권구(眷口)[심심가(尋心歌) 53 페이지 / 전적]

한집에 사는 식구.

권구(眷口)[환무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한집에 사는 식구.

권군갱진일배주 서출양관무고인(勸君更進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회경가 4 페이지 / 전적]

왕유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시구로 ‘그대에게 권하노니 한 잔 더 들게나 서쪽으로 양관을 떠나면 벗이 없나니’란 말임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그대에게 권하여 또 한 잔 술을 올리니. 중국의 시인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구절.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경춘곡 2 페이지 / 전적]

그대에게 권하여 또 한 잔 술을 올리니. 중국의 시인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구절.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그대에게 권하여 또 한 잔 술을 올리니. 중국의 시인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구절.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경춘곡 2 페이지 / 전적]

그대에게 권하여 또 한 잔 술을 올리니. 중국의 시인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구절.

권권(拳拳)[리행소챙가 57 페이지 / 전적]

정성스럽게 지킴, 공경하여 삼가는 모양.

권근(權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4 페이지 / 전적]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1352~1409)로 초명은 진(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이다. 성리학자이면서 문장에도 뛰어났으며, 왕명으로 하륜 등과 함께

권기(權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6 페이지 / 전적]

「權奇」― 漢書 禮樂志 天馬歌에 「志俶儻 精權奇」라 했는데, 王先兼補註에 「權奇란 것은 奇譎非常의 뜻이다」라 하였음.

권남(權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때의 공신(1416~1465)으로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이다. 이조 참판, 우의정 등을 지냈다. 수양 대군의 참모가 되어 김종서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저서에

권념(勸念)[권왕가 42 페이지 / 전적]

염불을 권하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