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궁액(宮掖)[송강집(松江集五)5 112 페이지 / 전적]

대궐. 액(掖)은 궁궐의 좌우에 있는 작은 문(門)임

궁액(宮掖)[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16 페이지 / 전적]

왕궁(王宮).

궁예(弓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후고구려의 건국자이자 왕(?~918)으로 송도에 도읍을 정하고, 901년에 스스로 왕이 되어 국호를 후고구려라고 하였다. 뒤에 왕건에게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901~918년이다.

궁을[사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멍을

궁을(弓乙)[부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궁을(弓乙)[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5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영부(靈符)의 모양을 형상화 한 것으로 동학의 본질인 천심(天心)의 '심(心)'를 표현한 것임.

궁을(弓乙)[론학가권지일 33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영부(靈符)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 동학의 본질인 천심(天心)의 ‘심(心)’ 자를 표현한 것인데, 영부의 모양이 태극(太極) 같기도 하고 활 ‘궁(弓)’ 자를 나란히 놓은 것과 같기도 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궁을(弓乙)[론학가권지일 33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영부(靈符)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 동학의 본질인 천심(天心)의 ‘심(心)’ 자를 표현한 것인데, 영부의 모양이 태극(太極) 같기도 하고 활 ‘궁(弓)’ 자를 나란히 놓은 것과 같기도 하다는 데서 유래한다.

궁을(弓乙)[산천가라 4 페이지 / 전적]

천도교에서 영부(靈符)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

궁을(弓乙)[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궁을은 동학에서 영부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인데, 최수운이 한울님에게서 받은 ‘영부’의 형상이 태극이며, 이것은 궁을의 모양과 같다는 데서 유래함.

궁을(弓乙)[몽즁운동가 8 페이지 / 전적]

궁을은 동학에서 영부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인데, 최수운이 한울님에게서 받은 ‘영부’의 형상이 태극이며, 이것은 궁을의 모양과 같다는 데서 유래함.

궁을기형(弓乙其形)[몽즁운동가 4 페이지 / 전적]

궁을의 형상. 궁을은 동학에서 영부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인데, 최수운이 한울님에게서 받은 ‘영부’의 형상이 태극이며, 이것은 궁을의 모양과 같다는 데서 유래함.

궁을도통(弓乙道通)[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3 페이지 / 전적]

궁을의 도를 통하다.

궁을선(弓乙船)[승선가(乘船歌) 4 페이지 / 전적]

궁을(弓乙)은 천도교에서, 영부(靈符)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 동학의 본질인 천심(天心)의 ‘심(心)’ 자를 표현한 것인데, 영부의 모양이 태극(太極) 같기도 하고 활 ‘궁(弓)’ 자를 나란히 놓은 것과 같기도 하다는 데서 유래하였음.

궁잔(窮殘)[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5 페이지 / 전적]

궁핍하고 쇠잔함.

궁장(宮墻)[권션지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궁성(宮城)

궁장(宮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0 페이지 / 전적]

「望宮墻」― 훌륭한 스승의 門庭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뜻임. 論語子張篇에 「譬之宮墻 賜之墻及肩夫子之牆數仭」이란 대문이 있음.

궁장(宮墻)[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궁성(宮城).

궁장(宮墻)[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궁성(宮城).

궁장(宮墻)[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궁성(宮城).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