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권마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권마성(勸馬聲). 벼슬아치의 행차에 그 위세를 더하기 위하여 거덜이나 역졸이 길게 외치는 소리.
권모[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38 페이지 / 전적]
당시 경기순찰사였던 권징(權徵)을 말하는 듯 하다.
권발(權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1478년(성종 9)∼1548년(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로 안동 출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허(仲虛), 호는 충재(冲齋)·훤정(萱亭)·송정(松亭). 할아버지는 부호조(副護早)곤(琨)이고, 아버지는 성균생원 증영의정사빈(士彬)이며, 어머니는 주부(主簿)윤당(尹塘)의 딸이다.
권불십년(權不十年)[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권불십년(權不十年)[무제(▩▩▩▩) 22 페이지 / 두루마리]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권생극락(勸生極樂)[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에 왕생할 것을 함. 앞에 든 각주 206 참조.
권선(勸善)[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하도록 권장함.
권선가(勸善歌)[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10 페이지 / 전적]
<퇴계선생권선지로가>를 일컫는 듯하다.
권선가(勸善歌)[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2 페이지 / 전적]
<퇴계선생권선지로가>를 일컫는 듯하다.
권선문(勸善文)[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신자들에게 선을 권하고 보시를 청하는 글.
권선문(勸善文)[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신자들에게 선을 권하고 보시를 청하는 글.
권선지로[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권선지로가
권성(勸誠)[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성실히 할 것을 권함.
권속(眷屬)[권왕가 42 페이지 / 전적]
자기 집안에 딸린 식구.
권속(眷屬)[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의 낮춤말.
권속(眷屬)[오륜가라 30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 집에 딸린 식구(食口).
권속(眷屬)[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아내’의 낮춤말.
권속(眷屬)[백발가(白髮歌) 7 페이지 / 전적]
‘아내’를 낮추어 하는 말.
권속(眷屬)[서가여래가사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의 낮춤말.
권속(眷屬)[서가여래가사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의 낮춤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