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궐당동자(闕黨童子)[황남별곡(黃南別曲) 23 페이지 / 전적]
궐당(闕黨) 출신의 동자(童子).
궐독(厥讀)하면[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7 페이지 / 전적]
독서를 하지 않으면. 궐(厥)은 빠진다는 뜻.
궐련초(卷煙草)[노정가라(노졍기라) 13 페이지 / 전적]
종이로 말아 놓은 담배.
궐련초(卷煙草)[타미계라(라미키라) 5 페이지 / 전적]
얇은 종이로 가늘고 길게 말아 놓은 담배. 권연초
궐련초(卷煙草)[타미계라(라미키라) 5 페이지 / 전적]
얇은 종이로 가늘고 길게 말아 놓은 담배. 권연초
궐리(闕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9 페이지 / 전적]
「闕理」― 地名인데 中國 山東省 曲阜縣 城中에 있음. 孔子의故里임.
궐어(鱖魚)[구쟉가 16 페이지 / 전적]
농엇과에 속한 민물고기.
궐초(厥初)[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그 처음.
궐향(闕享)[효성가라 4 페이지 / 전적]
궐사(闕祀).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지내지 못하여 빠뜨림.
궤배(跪拜)[잣치가라(치라) 36 페이지 / 전적]
무릎을 꿇고 절함.
궤소(殨所)[충효가(忠孝歌) 29 페이지 / 전적]
머무를 장소를 의지함.
궤슬단좌(跪膝端坐)[몽중가(夢中歌) 5 페이지 / 전적]
무릎을 꿇고 단정히 앉음.
궤식(饋食)[거취가(去取歌) 7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차려놓은 익은 음식, 또는 제수(祭需)를 제상에 차려놓음.
궤식(饋食)[근부가(謹婦歌) 1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차려놓은 익은 음식, 또는 제수(祭需)를 제상에 차려놓음.
궤자(跪子)[용문가라 11 페이지 / 전적]
무릎을 꿇어 앉음.
궤좌(跪㘴)[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무릎을 꿇고 앉음.
궤좌(跪㘴)[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무릎을 꿇고 앉음.
궤주[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8 페이지 / 전적]
패하여 흩어져 달아남.
귀(歸)[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 23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이체자(異體字)인 ‘敀’로 쓰였다.
귀가(歸嫁)[리행소챙가 23 페이지 / 전적]
여자가 시집으로 돌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