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권양촌[팔역가(八域歌) 28 페이지 / 전적]
조선 문인 권근
권양촌(權陽村)[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양촌(陽村) 권근(權近).
권양촌(權陽村)[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양촌(陽村) 권근(權近).
권양촌(權陽村)[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양촌(陽村) 권근(權近).
권양촌(權陽村)[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권근(權近)을 가리킴.
권오복(權五福)[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3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 때의 학자(1467~1498)로 자는 향지(嚮之), 호는 수헌(睡軒)이다. 문장과 필법이 뛰어났다.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처형되었다. 저서에
권왕행도(權王行道)[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행야할 도리.
권왕행도(權王行道)[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행야할 도리.
권우근(倦于勤)[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부지런한 것에 게으름.
권우근(倦于勤)[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부지런한 것에 게으름.
권율[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 페이지 / 전적]
자는 언신, 호는 만취당 또는 모악이며 영의정 철의 아들인데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명장이다. 임란 때 광주목사로서 방어사 곽영의 휘하에서 중위장이 되어 수도회복에 노력하는 등 많은 전공을 남겼다. 이치싸움의 공으로 전라감사가 되었다. 1593년 2월 12일 행주산성에서 휴정의 제자 처영 등 의승병들과 힘을 합쳐 일본군을 대파시켜 조선의 자존을 지키는데 큰 공을 남겼다. 시호는 충장이다
권율(權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명장(1537~1599).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ㆍ모악(暮嶽).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의 군대를 총지휘하였으며 행주 대첩 등에서 크게 이겼다. 정유재란 때 병사하였다.
권음(勸飲)[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6 페이지 / 전적]
마실 것을 권함.
권응수(權應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1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의병장(1546~1608). 자는 중평(仲平). 호는 백운재(白雲齋).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권이(卷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4 페이지 / 전적]
「卷耳」―詩經 周南 卷耳章을 말함인데 이 詩의 小序에「后妣가 君子의 不在家로 인하여 思念되므로 지은 것이다」라 하였음.
권전(權專)[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문종비(文宗妃)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부친.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으로 추증됨.
권전(權專)[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문종비(文宗妃)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부친.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으로 추증됨.
권전(權專)[한흥가라 24 페이지 / 전적]
문종비(文宗妃)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부친.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으로 추증됨.
권전(權專)[한양가라 22 페이지 / 전적]
현덕왕후권씨의 친정아버지.
권제(權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조선 태종·세종 때의 학자(1387~1445)로 초명은 도(蹈), 자는 중의(仲義)·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이다. 대사헌·이조 판서·우찬성을 지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