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권주가 하는[화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권주가(勸酒歌)는 술을 권하며 부르는 노래.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도 일종의 권주가로 볼 수 있다.
권주가 하는[화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는 “권권갱장 일배주”로 되어 있다. 아마도 왕유(王維)의 유명한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나오는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일 것이다. 왕유(699~759)는 당나라 대표적인 전원시인이다.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의 원시는 다음과 같다. “위성조우읍경진(渭城朝雨浥輕塵) 객사청청유색신(客舍靑靑柳色新)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進一杯酒) 서출양관무고인(西出陽關無故人)”.
권주가(勸酒歌)[춘몽가(츈몽가) 36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2세기 중국 주나라(周)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성은 희(姬).이름은 창(昌).서백(西伯)은 그의 직위임.유리(羑里)라고 불리는 감옥에서 유교의 고전인 주역(周易)의 괘사(卦辭)를 지었으며, 복희 선천 팔괘를 연역(演易)하여 문왕 후천 팔괘를 지었다고 전해지나, 괘사나 효사는 점(占)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생겨 고정된 것으로, 후대에 문왕을 찬미하기 위한 서술로 지적됨.
권주가(勸酒歌)[춘몽가(츈몽가) 36 페이지 / 전적]
술을 권하며 부르는 노래.
권중현(權重顯)[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2 페이지 / 전적]
구한말의 대신(1854~1934). 초명은 재형(在衡). 호는 경농(經農). 법부대신ㆍ군부대신을 지냈으며, 1905년에 을사조약 체결에 찬성하여 을사오적의 한 사람으로 규탄받았다.
권징(權徵)[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5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호는 송암이며 시호는 충정이다. 임란 때 경기도의 중요성 상 경기도관찰사에 특별히 임명되었으나 임진강의 방어 등에 실패하고 삭령에 들어가 흩어진 군사들을 모으고 군량미를 조달하는데 진력했다. 권율 등과 함께 경기, 충청, 전라도의 의병을 규합하여 왜적과 맞섰고 1593년 서울 탈환 작전에 참가했다. 이여송의 화의에 반대하고 끝까지 왜놈과 싸울 것을 주장했는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권차[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4 페이지 / 전적]
임시로 차출함.
권필(權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인(1569~1612).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주(石洲). 정철의 문인(門人)으로 시와 문장이 뛰어났으나 광해군 척족(戚族)들의 방종을 비방하였다가 귀양 가는 도중에 죽었다. 저서에 ≪석주집≫과 작품에 한문 소설 <주생전(周生傳)> 등이 있다.
권학(勸學)[한양가라 21 페이지 / 전적]
학문에 힘쓰도록 권함.
권학(勸學)[창덕가2 56 페이지 / 전적]
학문에 힘쓰도록 권함.
권학(勸學)[창덕가2 57 페이지 / 전적]
학문에 힘쓰도록 권함.
권형(權衡)[송강집(松江集四)4 88 페이지 / 전적]
물건의 경중을 다는 기구(器具) 즉 저울. 申子에「君必有明法正義 若懸權衡以稱輕重」
권화(勸化)[권왕가 9 페이지 / 전적]
절이나 부처를 위하여 재물을 바칠 것을 청함.
권화문(勸化文)[권왕가 45 페이지 / 전적]
절이나 부처를 위하여 재물을 바칠 것을 청하는 글.
권화산(權花山)[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권응수(權應銖, 1546~1608). 본관 안동. 자 중평(仲平). 호 백운재(白雲齋). 시호 충의(忠毅). 경북 영천 출생. 조선 중기의 무신. 북변수비에 종사했고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모집하여 영천성을 탈환했다. 경주성 탈환전, 문경 당교 싸움 등에 참전했다.
권화산(權花山)[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권응수(權應銖, 1546~1608). 본관 안동. 자 중평(仲平). 호 백운재(白雲齋). 시호 충의(忠毅). 경북 영천 출생. 조선 중기의 무신. 북변수비에 종사했고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모집하여 영천성을 탈환했다. 경주성 탈환전, 문경 당교 싸움 등에 참전했다.
권화산(權花山)[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권응수(權應銖, 1546~1608). 본관 안동. 자 중평(仲平). 호 백운재(白雲齋). 시호 충의(忠毅). 경북 영천 출생. 조선 중기의 무신. 북변수비에 종사했고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모집하여 영천성을 탈환했다. 경주성 탈환전, 문경 당교 싸움 등에 참전했다.
권화산(權花山)[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의병장 권응수(權應銖, 1563-1633)를 말한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권희인[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15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무인, 본은 안동으로 삼암으로 호했는데 유성룡의 문인이다. 임란 때 영남의병장 김면의 휘하에 들어가 옥천군수 겸 충청도 조방장으로서 왜적을 무찌르는데 공을 남김. 경남 고성 영선의 싸움에서 이응보 및 조카들과 함께 싸우다 전사했으며 유고로 삼암유집이 있다.
궐각(厥角)[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그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