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군장(君長)[삼강오륜가 서 5 페이지 / 전적]

군주(君主). 세습적으로 국가를 대표하여 통수하는 최고 지위에 있는 사람.

군저암(郡猪岩)[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5 페이지 / 전적]

돼지 모양의 바위.

군적(軍籍)[가사소리 31 페이지 / 전적]

군인의 소속과 신원을 적어 놓은 명부.

군정(軍情)[쟝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군대(軍隊)의 상황과 동정.

군정(軍政)[가사소리 1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삼정(三政) 가운데 정남(丁男)으로부터 군포(軍布)를 받아들이던 일.

군중무사(郡中無事)[낙지가 6 페이지 / 전적]

무사태평함을 의미함.

군지허위(君之虛位)를 과(過)할 때 안색(顔色)을 여발(如勃) 하시며[사군가(事君歌) 5 페이지 / 전적]

자리를 지나실 적에는 안색을 긴장하시고.

군평(君平)[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촉한(蜀漢)의 은군자 엄준(嚴遵)의 자. 복서(卜筮)를 좋아하여 남의 길흉을 점쳐주는 매복자(賣卜者) 역할을 함. ‘군평 매복(君平賣卜)’은 이를 두고 이름.

군핍(窘乏)[신도가(臣道歌) 6 페이지 / 전적]

(무엇이 부족(不足)하거나 없어서)몹시 군색(窘塞)하고 아쉬움. 곤핍.

군함(軍艦)[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전투에 참여하는 배.

군향미(軍餉米)[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군량미.

군현(群賢)이 필지(畢至)[화전가1 5 페이지 / 전적]

여러 현인들이 모두 찾아옴.

군현(群賢)이 필지(畢至)[화전가2 5 페이지 / 전적]

여러 현인들이 모두 찾아옴.

군호부(郡護府)[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 때 행정단위의 하나. 여기서는 문맥으로 보아 군자(君子)의 배필(配匹)을 얘기하고 있으니 아마 군자(君子)의 다른 표현이 아닌가 추측한다.

군디[ 1 페이지 / ]

쓸데없는 뜻이. 딴 뜻이. 딴 마음이.

군[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군색(窘塞)하게. 궁색(窮塞)하게.

굴곡(屈曲)[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굽어 꺾여 있음. 또는 그런 굽이.

굴곡(屈曲)[옥산가라 18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굽어 꺾여 있음. 또는 그런 굽이.

굴관제복(屈冠祭服)[환무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상주가 두건 위에 덧쓰는 모자와 장례 때 입는 옷.

굴러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4 페이지 / 전적]

「不可轉」― 詩經 衛風 柏舟에「我心匪石 不可轉也」라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