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굴지(屈指)[쥭매곡(쥭곡) 3 페이지 / 전적]

손가락을 꼽아 헤아림.

굴지게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굴지계일(屈指計日). 손가락을 꼽으며 기다린다는 말. 간절히 기다림의 뜻.

굴총해도[화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무덤을 파내는 것.

굴택(窟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 페이지 / 전적]

동굴집.

굴혈(掘穴)[북쳔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바위나 땅속으로 깊이 패어 들어간 곳.

굴혈(掘穴)[팔도가 14 페이지 / 전적]

구멍이나 구덩이.

굴혈(掘穴)[팔도가 14 페이지 / 전적]

구멍이나 구덩이.

굵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1 페이지 / 전적]

「絺綌」―盛暑에 着服하는 衣料임. 詩經 邶風 綠衣에 「絺兮綌兮 淒其以風」이라 하였음. 이는 자기의 때가지나 버림을 받는 것이 마치 絺綌이 찬 바람을 만난 것과 같다는 뜻임.

굼고벼셔[복션화음록 12 페이지 / 전적]

굶고 벗어. 끼니를 거르고 입은 옷을 벗어.

굼벵이 먹은 오얏도 진중자는 삼키었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50 페이지 / 전적]

청렴을 지키겠다는 뜻.《孟子 滕文公下》에 ‘진중자 (陳仲子)는 어찌 청렴한 선비가 아니리오 능 (陵) 땅에 있을 때 3일 동안 굶어 듣지도 보지도 못하다가 굼벵이가 반이나 먹은 우물 위의 오얏을 기어가서 주워 먹으니 세 번 삼킨 후에 귀에 소리가 들리고 눈에 물건이 보였다.‘는 말이 있다.

굽격지[ 1 페이지 / ]

굽이 달린 나막신.

굽고 구워[과부가(寡婦歌) 4 페이지 / 전적]

한쪽으로 휘어져 있어.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급고급고’로 되어 있음. (참고 : 가사의 원문 중 속음(俗音)이나 변음(變音)의 표기, 또는 오자(誤字) 등은 가사의 현대역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그 표기의 예를 이처럼 제시해 둔다. 이하 다른 각주에 드는 낱말의 경우도 이와 같다.)

굽이[초원동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말 두 동, 많게는 세 동, 네 동까지를 함께 합치는 것을 ‘굽는다’라고 함.

굽이[초원동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말 두 동, 많게는 세 동, 네 동까지를 함께 합치는 것을 ‘굽는다’라고 함.

굿[오륜가라 11 페이지 / 전적]

뫼를 쓸 때에, 널이 들어갈 만큼 알맞게 파서 다듬은 속 구덩이.

굿덕[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녀들이 하는 굿의 효험.

굿뱀[한흥가라 41 페이지 / 전적]

흙구덩이 속에 무리를 지어 사는 작은 뱀.

굿뱀[한흥가라 41 페이지 / 전적]

흙구덩이 속에 무리를 지어 사는 작은 뱀.

굿뱀[한흥가라 41 페이지 / 전적]

흙구덩이 속에 무리를 지어 사는 작은 뱀.

굿부다[벌교사(벌교) 3 페이지 / 전적]

구쁘다'의 옛말.배 속이 허전하여 자꾸 먹고 싶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