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즐비(櫛比)[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빗살처럼 줄지어 빽빽하게 늘어서 있음.
즐종(櫛縱)[사친가(事親歌) 30 페이지 / 전적]
빗질.
즙즙(揖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6 페이지 / 전적]
「揖揖」―詩經 周南螽斯에「螽斯羽揖揖兮 冝爾子孫蟄蟄兮」라는 대문이 있음
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9 페이지 / 전적]
「點瑟希」―論語 先進篇에 「鼓瑟希 鏗爾舍瑟而作」이란 대문이있음。曾點은 曾參의 父임
증[남자답가라(남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성(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의 방언.
증감(增減)[권왕가 49 페이지 / 전적]
많아지는 것과 적어지는 것. 앞에 든 증겁(增劫)과 감겁(減劫)을 두고 이름.
증겁(增劫)[권왕가 49 페이지 / 전적]
사람의 나이 열 살 때부터 해마다 또는 백년마다 한 살씩 더해서 8만 살에 이를 때까지의 동안을 일컫는 말.
증득(證得)[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수행에 의해서 진리를 깨닫고 지혜와 공덕을 체득하는 것.
증득(證得)[화엄결사권연가라 10 페이지 / 전적]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
증모(增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정원보다 더 늘려 모집함.
증민(蒸民)[권학가 8 페이지 / 전적]
만민(萬民). 모든 백성.
증민(蒸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28 페이지 / 전적]
「烝民」-詩經 大雅 烝民章에 나타난 「天生烝民 有物有則民之秉彛 好是懿德」을 말함。
증부자(曾夫子)[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증자(曾子). 공자의 제자로서 교지통심(嚙指痛心)의 고사가 전함. 증자 가 부재중에 그의 모친이 손님 접대 문제로 당황한 나머지 손을 깨물자 나무하던 증자가 그 아픔을 함께 느끼고 집으로 달려와서 모친을 안심시키고 예로써 손님을 접대했다고 함.
증부자(曾夫子)[남은곡 권지단이라 7 페이지 / 전적]
증자(曾子)의 존칭. 중국 춘추(春秋)시대 노(魯)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삼(參), 자(字)는 자여(子輿). 공자의 제자로, 부모에 지효(至孝)하고 일일삼성(一日三省)하여 도를 닦음. 『대학(大學)』을 저술하고 『효경(孝經)』을 저작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음. 증자가 산에 나무를 하러 갔을 때, 집에 손님이 와서 증자의 어머니가 난처하여 증자를 생각하며 손가락을 깨물었는데, 산 속의 아들에게 이것이 통하여 서둘러 귀가했다는 고사(故事)가 있음.
증산[지리산이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증산(姜甑山), 강일순(姜一淳, 1871.9.19.~1909)으로 증산교 창시자.동학 교도였으나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 때 무장봉기에 반대했다.김제 모악산 대원사에서 수도를 하던 중 깨달음을 얻어 후천개벽과 후천선경의 도래를 선포함.
증산(增産)[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생산을 늘림.
증산성인(甑山聖人)[역대삼재가라 11 페이지 / 전적]
강일순(姜一淳). 증산교의 창시자(1871~1909). 호는 증산(甑山). 광무 4년(1900)에 유불선(儒佛仙)의 사상을 토대로 증산교를 창시하였다.
증삼(曾參)[만고가라 12 페이지 / 전적]
중국 노(魯)나라 때 공자의 제자로 학문과 효성으로 이름났다.
증삼(曾參)[효행록이라(효록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노(魯)나라 때 공자의 제자로 학문과 효성으로 이름났다.
증삼(曾參)[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증자(曾子), ‘삼’은 이름. 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로 공자의 도를 계승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