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중화(中火)참[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을 가다가 점심을 먹거나 쉼

중화(中華)[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한민족(漢民族)이 주위의 여러 민족을 야만시하고 자기네 나라를 세계의 중앙에 위치한 가장 문명한 나라로 일컫는 말.

중화(中華)[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한민족(漢民族)이 주위의 여러 민족을 야만시하고 자기네 나라를 세계의 중앙에 위치한 가장 문명한 나라로 일컫는 말.

중화(中華)[용담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을 높여서 부르는 명칭.

중화(重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0 페이지 / 전적]

「重華」― 書經 舜典에 「重華協于帝」라 하였음.

중화부사(中和府使)[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의 남부에 있는 중화군에 파견되어 군사 행정 업무를 맡아보던 종사품의 외직 무관 벼슬.

중화참(中火站)[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길을 가다가 점심을 먹는 곳. 중화(中火) : 길을 가다가 먹는 점심. 월참(越站) : 쉬지 않고 참을 그냥 지나는 것.

중환(中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5 페이지 / 전적]

총탄에 맞음.

중흥(中興)[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쇠퇴하던 것이 중간에 다시 일어남. 또는 다시 일어나게 함.

중흥(中興)[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쇠퇴하던 것이 중간에 다시 일어남.

중흥(中興)[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쇠퇴하던 것이 중간에 다시 일어남. 또는 다시 일어나게 함.

쥐간(鼠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8 페이지 / 전적]

鼠肝虫臂」―지극히 微賤한 것에 비유하는 말임. 莊子 大宗師에「以汝爲鼠肝乎 以汝爲虫臂乎」라 하였음.

쥘쌈지[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옷 소매나 호주머니에 넣게 된 쌈지.

쥘쌈지[거창가 30 페이지 / 전적]

옷 소매나 호주머니에 넣게 된 쌈지.

쥘쌈지[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담배를 넣어서 소매나 호주머니에 넣게 된 쌈지

쥬근람 각기난[효봉구고치산가 13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 생각하기는. ‘쥬근람’은 ‘주근사람’의 잘못된 표기인 것 같음.

쥬수일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주수일념(株守一念). 수주일념(守株一念). 주변 없이 올곧게 간직한 마음.

쥬점이랴 드르가서[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점(酒店)에 들어가서.

쥭가지[복션화음록 16 페이지 / 전적]

죽을 때까지로 생각됨. ‘죽갓다’는 ‘죽겠다’의 옛말.

쥭난이[상사곡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죽는 것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