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배(前陪)[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나 상관을 배견할 때에 앞을 인도하던 관리나 하인.
전배(前陪)[아림가(娥林歌) 35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나 상관을 배견할 때에 앞을 인도하던 관리나 하인.
전배(前陪)[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나 상관을 배견할 때에 앞을 인도하던 관리나 하인.
전배傳盃[ 1 페이지 / ]
술자리에서 술잔을 전함
전배군노(前陪軍奴)[구쟉가 8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행차하거나 상관을 만날 때 앞을 인도하는 군대의 하인
전배사령(前陪使令)[옥단춘전이라 7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를 인도하던 사령배.
전별(餞別)[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0 페이지 / 전적]
잔치를 베풀어 작별함.
전별(餞別)[이화가젼 6 페이지 / 전적]
잔치를 베풀어 작별한다는 뜻으로, 보내는 쪽에서 예를 차려 작별함을 이르는 말.
전별(餞別)[이화가젼 6 페이지 / 전적]
잔치를 베풀어 작별한다는 뜻으로, 보내는 쪽에서 예를 차려 작별함을 이르는 말.
전별(餞別)[갑지녹이라 6 페이지 / 전적]
떠나는 이를 위하여, 잔치를 베풀어 작별함.
전별(餞別)[셔유곡 2 페이지 / 전적]
잔치를 베풀어 작별한다는 뜻으로, 보내는 쪽에서 예를 차려 작별함을 이르는 말.
전보(電報)[환무자탄가 25 페이지 / 전적]
전신(電信)으로 단시간에 보내는 통신이나 통보.
전복(傳服)[근부가(謹婦歌) 5 페이지 / 전적]
옷을 차례로 돌려가며 입는 것.
전복(傳服)[부덕가(婦德歌) 1 페이지 / 전적]
옷을 차례로 돌려가며 입는 것.
전복(甸服)[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황제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전복(甸服)[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황제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전복(顚覆)[한양가라 75 페이지 / 전적]
뒤집혀 엎어짐.
전복쌈[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마른 전복을 물에 불려 얇게 저미고, 잣으로 소를 넣어 접은 뒤에 반달 모양으로 오려 만든 마른 반찬.
전복지경(顚覆地境)[해몽가라(몽가라) 13 페이지 / 전적]
체제가 무너지고 뒤집어질 형편, 정도.
전복후복(甸服侯服)[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전복(甸服)과 후복(侯服). 전복은 중국에서 둔 오복(五服)의 하나로 상고 때는 왕기(王畿)로부터 5백 리 안의 땅, 주나라 때에는 후복(後服)의 다음 5백 리 안의 땅. 후복은 왕기(王畿)의 주위 오백 리, 혹은 오백 리에서 천 리 사이의 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