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전등관찰(前等觀察)[심심가(尋心歌) 49 페이지 / 전적]

이전에 다스리던 관찰사.

전등관찰(前等觀察)[심심가(尋心歌) 49 페이지 / 전적]

이전에 다스리던 관찰사.

전라감사(全羅監司)[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전라도의 으뜸 벼슬로 관찰사로도 함.

전라감사(全羅監司)[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전라도 관찰사. 감사는 관찰사와 같은 말로, 조선 시대 각 도의 으뜸 벼슬을 가리킴.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로, 도관찰출척사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것임.

전라도(全羅道)[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원래 강원도(江原道)가 맞음.

전랑(銓郞)[송강집(松江集五)5 72 페이지 / 전적]

이조랑(吏曹郞)

전래(傳來)[김씨효행가 36 페이지 / 두루마리]

전하여 내려오는.

전래전답(傳來田畓)[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조상대부터 전해지는 논밭.

전령(傳令)[시절가 9 페이지 / 전적]

명령이나 훈령, 고시 따위를 전하여 보냄. 또는 그 명령이나 훈령, 고시.

전령패(傳令牌)[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관부(官府)의 명령을 전달할 때 쓰던 직사각형 모양의 패(牌)

전례(前例)[충효가(忠孝歌) 33 페이지 / 전적]

이전부터 하던대로.

전로(前路)[합강정가(合江亭歌) 12 페이지 / 전적]

앞길.

전륜 대왕(轉輪大王)[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의 하나로서 ‘오도 전륜 대왕(五道轉輪大王)’의 약칭.

전륜대왕(轉輪大王)[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명부(冥府)의 시왕(十王) 중 열번째 왕으로 전륜대왕은 죽은 자가 맞이하는 3년째의 일을 관장하는 관리로서, 2관중옥사를 부하로 거느리고 중생의 어리석음과 번뇌를 다스리는 왕인데, 죽은 자는 사후에 여러 왕을 거치며 그 죄를 심판받고 최후로 오도전륜대왕 앞에 이르러 다시 태어날 곳을 결정함..

전륜대왕(轉輪大王)[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시왕의 마지막 왕으로 사람이 죽은 지 3회기(三回忌) 째 되는 날에 심판을 마무리하는 왕인데, 심판받은 죄인들이 다시 태어날 곳이 결정됨.

전륜대왕(轉輪大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중 열 번째의 왕으로 죽은 자가 맞이하는 3년째의 일을 관장. 2관중옥사를 부하로 거느리고 중생의 어리석음과 번뇌를 다스리는데, 죽은 자는 사후에 여러 왕을 거치며 그 죄를 심판받고 최후로 오도전륜대왕 앞에 이르러 다시 태어날 곳을 정함.

전륜왕(轉輪王)[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몸에 32 상(相)을 갖추고, 즉위할 때에 하늘에서 윤보(輪寶)를 감득(感 得)하여, 이것을 굴려 가며 악을 없애버리며 천하를 위엄으로 굴복시키고, 선한 정치로 백성을 교화한다는 인도 신화상의 왕.

전륜왕(轉輪王)[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3 참조.

전만고 후만고(前萬古 後萬古)[창덕가2 25 페이지 / 전적]

과거와 미래.

전만고 후만고(前萬古 後萬古)[창덕가2 26 페이지 / 전적]

과거와 미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