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공(前功)[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1 페이지 / 전적]
이전에 세운 공로나 공적.
전공(前功)이 가석(可惜)[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이전에 세운 공이 아깝다.
전공(前功)이 가석(可惜)[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이전에 세운 공이 아깝다.
전공(战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8 페이지 / 전적]
전투에서 세운 공로.
전공가석(前功可惜)[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전에 들인 공이 아까움. 지난날에 애써 한 일이 보람 없이 됨.
전공가석(前功可惜)[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전에 들인 공이 아까움. 지난날에 애써 한 일이 보람 없이 됨.
전공가석(前功可惜)[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전에 세운 공로가 아깝다는 뜻으로 애써 한 일이 보람 없이 되거나 공을 세운 이가 도중에 일을 크게 망쳤을 때 그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전공가석(前功可惜)[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전에 세운 공로가 아깝다는 뜻으로 애써 한 일이 보람 없이 되거나 공을 세운 이가 도중에 일을 크게 망쳤을 때 그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전공가석(前功可惜)[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7 페이지 / 전적]
애를 써서 하던 일을 중간(中間)에 그만두거나 또는 헛일이 되었을 때, 그 전(前)에 들인 힘이 아까움
전공가석(前功可惜)[경노의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이전에 세운 공로가 아깝다는 뜻으로, ‘애써 한 일이 보람 없이 되거나 공을 세운 이가 도중에 일을 크게 망쳐 안타까움’을 이르는 말.
전공후(鈿箜篌)[사미인곡 8 페이지 / 전적]
자개로 장식한 공후. 공후는 악기 이름.
전관(銓官)[송강집(松江集六)6 45 페이지 / 전적]
전형(銓衡)을 맡은 관리
전광(癲狂)찬케[신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정신을 놓고 함부로 날 뜀.
전광(顚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0 페이지 / 전적]
「顚狂」-擧動이 佻蕩한 것을 비유하여 쓰는 말임. 李商隱詩의「送宮人八道」詩에 『鳳女顚狂成久別』의 句가 있음.
전광석화(電光石火)[경노의심곡 15 페이지 / 두루마리]
번개가 치거나 부싯돌이 부딪칠 때의 번쩍이는 빛이라는 뜻으로,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동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전교(典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늘 지켜야 할 가르침.
전교당(典敎堂)[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있는 강당. 1574년(선조 7)에 세웠으며, 도산서원의 강학(講學) 공간 중심에 위치한 강당으로, 앞마당에는 동재(東齋)인 박약재(博約齋)와 서재(西齋)인 홍의재(弘毅齋)가 자리 잡고 있음.
전교당(典敎堂)[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있는 강당. 1574년(선조 7)에 세웠으며, 도산서원의 강학(講學) 공간 중심에 위치한 강당으로, 앞마당에는 동재(東齋)인 박약재(博約齋)와 서재(西齋)인 홍의재(弘毅齋)가 자리 잡고 있음.
전구(全口)[형졔분슈가 7 페이지 / 전적]
온 식구.
전국(全國)[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춘추전국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