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적자(赤子)[ 1 페이지 / ]

갓난아이. 백성.

적자(赤子)[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백성.

적자(赤子)[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

적자(赤子)[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

적자(赤子)[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4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

적자(赤子)[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갓난아이.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

적자(赤子)[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갓난아이.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

적자(適子)[광애가(廣愛歌) 6 페이지 / 전적]

정실(正室)이 낳은 아들. '적자(嫡子)'와 같음.

적장사(賊杖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매든 도적 모양의 사(砂) 형세.

적장사(賊杖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매든 도적 모양의 사(砂) 형세.

적장사(賊杖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매든 도적 모양의 사(砂) 형세.

적재여생(謫在餘生)[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귀양살이 하는 것처럼 남은 인생.

적재적소(適材適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에 적당(適當)한 재능(才能)을 가진 자에게 적합(適合)한 지위(地位)나 임무(任務)를 맡김.

적적(嫡嫡)한대[초암가 6 페이지 / 전적]

적적(寂寂)의 오자인 듯함. 외롭고 쓸쓸함.

적적(嫡嫡)한대[교몽가 2 페이지 / 전적]

적적(寂寂)의 오자인 듯함. 외롭고 쓸쓸함.

적적(寂寂)[옥산가라 51 페이지 / 전적]

조용하고 쓸쓸함.

적적(寂寂)한[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용하고 쓸쓸함. 또는 하는 일없이 심심한 상태.

적적滴滴[ 1 페이지 / ]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양.

적적멸멸(寂寂滅滅)[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고요하여 사라진.

적적멸멸(寂寂滅滅)[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고요하여 사라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