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적선(積善)[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많이 함.
적선(積善)[오륜가라 31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많이 함.
적선(積善)[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5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여러 번 함.
적선(積善)[가사소리 29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많이 함.
적선(積善)[가사소리 31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많이 함.
적선(積善)[연행별곡(연별곡) 15 페이지 / 전적]
착한 일을 여러 번 함.
적선(謫仙)[성산별곡 9 페이지 / 전적]
이백을 뜻함. 이백의 벗 하지장(賀知章)이 “이백은 하늘에서 인간으로 귀양온 선인(仙人)”이라 한 데서 나온 말.
적선(謫仙)[석천집(石川集二-三)2-3 122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의 시인 이백(李白).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두보(杜甫)와 함께 시종(詩宗)이라 불린다.
적선(謫仙)[석천집(石川集二-五)2-5 11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이백(李白).
적선가(積善家)[오황불이 4 페이지 / 전적]
적선지가(積善之家).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적선가(積善家)[오황불이 4 페이지 / 전적]
적선지가(積善之家).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적선가(積善家)[오황불이 4 페이지 / 전적]
적선지가(積善之家).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적선가(積善家)[오황불이 4 페이지 / 전적]
적선지가(積善之家).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적선가(積善家)[얼씨고나 2 페이지 / 전적]
적선지가(積善之家).착한 일을 많이 한 집.
적선가(積善家)에 여경(餘慶)있고[경영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적선여경(積善餘慶).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
적선시(謫仙詩)[석촌별곡 5 페이지 / 전적]
적선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으로, 적선시는 이백이 쓴 <망여산폭포시(望廬山瀑布詩)>이다.
적선여경(積善餘慶)[자탄가 자탄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적선지가필유여경(積善之家必有餘慶)의 준말로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
적선여음(積善餘蔭)[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착한 일을 많이 한 조상의 공덕으로 자손이 받는 복.
적선자(積善者)[궁월가라 6 페이지 / 전적]
착한 행실을 쌓은 사람.
적선적덕(積善積德)[교훈가 2 페이지 / 전적]
선과 덕을 쌓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