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적역(炙役)[무제(어와규중 번님내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알맞게 구워냄.

적연하면[벽천가 55 페이지 / 전적]

틀림없이 그러하면.

적영반앵도(赤瑛盤櫻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赤瑛盤櫻桃」―拾遺記에「漢明帝가 달밤에 羣臣들을 照園에 會同하여 잔치를 벌렸는데 太官이 櫻桃를 진상하여 赤瑛으로 만든 소반에 고여 羣臣에게 下賜했다. 羣臣들이 달아래서 보니 소반이 櫻桃와 一色이어서 모두 웃으며 빈 소반이라고들 헀다」라 하였음.

적요(寂寥)[리행소챙가 30 페이지 / 전적]

적막하고 고요함.

적요(寂寥)[후원초당 봄이듯이 7 페이지 / 두루마리]

적적하고 고요함.

적우(敵耦)[광애가(廣愛歌) 5 페이지 / 전적]

서로 엇비슷하여 대등하게 맞섬.

적원(積怨)[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5 페이지 / 전적]

오래 쌓이고 쌓인 원망.

적원(積怨)[벽천가 10 페이지 / 전적]

오래 쌓이고 쌓인 원망.

적원(積怨)[거창가라 23 페이지 / 전적]

오랫동안 원망을 쌓음.또는 그런 원망.

적원(積怨)[아림가(娥林歌) 26 페이지 / 전적]

오랫동안 원망을 쌓음. 또는 그런 원망.

적음(積陰)[경노의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상의 음덕(蔭德).

적의(適意)하다.[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맞다.

적인걸(狄仁傑)[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명신. 자는 회영(懷英). 고종(高宗) 시대에 순무사로 강남(江南)에서 활약하고, 돌궐(突厥)과 거란(契丹)의 정벌에 공을 세워 국로(國老)가 되었음. 이곳 표제의 ‘狄仁傑’은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에 ‘狄人傑’로 오기되어 있음.

적인종부(敵人從夫)[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가서 지아비를 따르다.

적인종부(適人從夫)[냥신낙사가(냥신낙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을 가면 남편의 뜻을 따름.

적인종부(適人從夫)[냥신낙사가(냥신낙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집을 가면 남편의 뜻을 따름.

적인종부(適人從夫)[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시집가서는 남편을 따라야 함을 뜻하는 말이다.

적인종부(適人從夫)[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시집가서는 남편을 따라야 함을 뜻하는 말이다.

적자(赤子)[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8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백성.

적자(赤子)[자경별곡 10 페이지 / 전적]

갓난아이. 백성.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