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복후복(甸服侯服)[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전복(甸服)과 후복(侯服). 전복은 중국에서 둔 오복(五服)의 하나로 상고 때는 왕기(王畿)로부터 5백 리 안의 땅, 주나라 때에는 후복(後服)의 다음 5백 리 안의 땅. 후복은 왕기(王畿)의 주위 오백 리, 혹은 오백 리에서 천 리 사이의 땅.
전복후복(甸服侯服)[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7 페이지 / 전적]
전복(甸服)과 후복(侯服). 전복은 중국에서 둔 오복(五服)의 하나로 상고 때는 왕기(王畿)로부터 5백 리 안의 땅, 주나라 때에는 후복(後服)의 다음 5백 리 안의 땅. 후복은 왕기(王畿)의 주위 오백 리, 혹은 오백 리에서 천 리 사이의 땅.
전복후복(甸服侯服)[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전복(甸服)과 후복(侯服). 전복은 중국에서 둔 오복(五服)의 하나로 상고 때는 왕기(王畿)로부터 5백 리 안의 땅, 주나라 때에는 후복(後服)의 다음 5백 리 안의 땅. 후복은 왕기(王畿)의 주위 오백 리, 혹은 오백 리에서 천 리 사이의 땅.
전복후복(甸服侯服)[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전복(甸服)과 후복(侯服). 전복은 중국에서 둔 오복(五服)의 하나로 상고 때는 왕기(王畿)로부터 5백 리 안의 땅, 주나라 때에는 후복(後服)의 다음 5백 리 안의 땅. 후복은 왕기(王畿)의 주위 오백 리, 혹은 오백 리에서 천 리 사이의 땅.
전봉준(全琫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1855~1895). 초명ㆍ자는 명숙(明叔). 호는 해몽(海夢). 고부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항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켜 맹위를 떨쳤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하여 이듬해에 처형되었다.
전봉준(全琫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8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1855~1895). 초명ㆍ자는 명숙(明叔). 호는 해몽(海夢). 고부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항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켜 맹위를 떨쳤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하여 이듬해에 처형되었다.
전부(田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농부(農夫).
전분(典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3 페이지 / 전적]
古代의 書의 三墳 五曲의 略稱임. 文選 陸機文賦에 「佇中區以玄覽 ∝情志於曲墳」이라 하였음.
전분(田蚡)[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61 페이지 / 전적]
한 경제(漢景帝)의 황후의 친동생으로 무제(武帝) 때에 무안후 (武安侯)에 봉해지고 승상(丞相)에 올라 권력을 남용하였으며 매우 교만하고 방자하였다. 뒤에 저택(邸宅)을 넓히기 위하여 국가의 공물제작소(工物製作所)인 고공 (考工)의 부지(敷地)를 하사해줄 것을 청하다가 거절당하고 권좌에서 물러났다.《漢書 卷五十二 田蚡列傳》
전빙(輾氷)[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얼음 위에 엎드림.
전사(傳寫)[사군가(事君歌) 7 페이지 / 전적]
먼저 맛보고 반을 남기고.
전사(前事)[여자행신가 12 페이지 / 전적]
앞서 있었던 일. 또는 이미 지나간 일.
전사(前事)[여자행신가 12 페이지 / 전적]
앞서 있었던 일. 또는 이미 지나간 일.
전사(前事)[답사향곡(답향곡) 7 페이지 / 전적]
앞서 있었던 일.또는 이미 지나간 일.
전사(專事)[말이타국원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오로지 어떤 일에만 마음을 씀.
전사(戰死)[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쟁터에서 죽음.
전삼세(田三稅)[가사소리 18 페이지 / 전적]
전지(田地)에 매기던 전세(田稅)ㆍ대동미ㆍ호포(戶布)를 통틀어 이르던 말.
전상대효(前商大孝)[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전상은 은나라. 곧 은나라의 큰 효자.
전생 죄(前生罪) 전생(前生)[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전생에서 지은 죄. 숙세(宿世). 삼생(三生)의 하나.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세상.
전생(前生)[자책가(가) 6 페이지 / 전적]
삼생(三生). 전세(前世).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의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