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전솔[벽천가 35 페이지 / 전적]

가솔(家率)의 뜻인 듯.

전송(餞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1 페이지 / 전적]

서운하여 잔치를 베풀고 작별하여 보냄.

전송(餞送)[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서운하여 잔치를 베풀고 보낸다는 뜻으로, 예를 갖추어 떠나보냄을 이르는 말.

전송(餞送)[신힁가라 3 페이지 / 전적]

서운하여 잔치를 베풀고 보낸다는 뜻으로, 예를 갖추어 떠나보냄을 이르는 말.

전송(餞送)[가야희인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서운하여 잔치를 베풀고 보낸다는 뜻으로, 예를 갖추어 떠나보냄을 이르는 말.

전송춘(餞送春)[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봄을 전별하여 보냄.

전수(傳受)[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전하여 받다.

전수(前修)[송강집(松江集三)3 24 페이지 / 전적]

옛날에 덕(德)을 닦은 사람. 離騷에 「賽吾法夫前修兮非世俗之所服」

전수(專修)[명륜가(明倫歌) 4 페이지 / 전적]

오로지 그 일만을 닦음.

전수심법(傳授心法)[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심법을 전수받다. 한울님으로부터 전수받은 심법. 즉, 동학의 기본은 자신의 마음을 닦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임.

전수심법(傳授心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전하여 준 정신(情神), 혹은 마음을 쓰는 법.

전수심법(傳授心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전하여 준 정신(情神), 혹은 마음을 쓰는 법.

전수심법(傳授心法)[경화가(警和歌) 21 페이지 / 전적]

심법을 전수받다. 한울님으로부터 전수받은 심법. 즉, 동학의 기본은 자신의 마음을 닦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임.

전수심법(傳授心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전하여 준 정신(情神), 혹은 마음을 쓰는 법.

전수심법(傳授心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전하여 준 정신(情神), 혹은 마음을 쓰는 법.

전수심법(傳授心法)[몽즁운동가 6 페이지 / 전적]

전하여 준 정신(情神), 혹은 마음을 쓰는 법.

전수심법(傳授心法)[창덕가2 77 페이지 / 전적]

한울님으로부터 전수받은 심법(心法).

전수심법(傳授心法)[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한울님으로부터 전수받은 심법(心法).

전시료(田柴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전시과(田柴科), 고려시대에, 벼슬아치나 공신(功臣) 또는 각 관아에 토지 및 땔나무를 댈 임야를 나누어 주던 제도로 경종 1년(976)에 처음 제정하여 문종 30년(1076)에 완비하였다.

전신(傳信)[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편지나 소식을 전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