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전안상(奠雁床)[벽천가 15 페이지 / 전적]

전안을 할 때 기러기를 올려놓은 상.

전안석(奠雁席)[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쓰는 상.

전안석(奠雁席)[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쓰는 상.

전안석(奠雁席)[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전안(奠雁)이란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을 하는 행동이나 또는 그런 예(禮)를 뜻한다.이때, 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대개 나무로 만든 것을 쓴다.

전안석(奠雁席)[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전안(奠雁)이란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을 하는 행동이나 또는 그런 예(禮)를 뜻한다.이때, 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대개 나무로 만든 것을 쓴다.

전안청(奠雁廳)[충행단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례 때, 전안지례를 치르기 위하여 차려놓은 자리.

전안청(奠雁廳)[상사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전통혼례에서 전안지례를 치르기 위하여 차려 놓은 자리. 대개 마당에 차일을 치고 병풍을 둘러 놓고, 큰상 위에 솔·대·과일·음식 따위를 차려 놓아 꾸밈.

전약(煎藥)[김씨효행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동짓날에 먹는 음식의 하나. 쇠가죽을 진하게 고아서 꿀과 관계(官桂)ㆍ건강(乾薑)ㆍ정향(丁香)ㆍ후추 따위의 가루와, 대추를 쪄서 체에 거른 고(膏)를 섞어 푹 끓인 후에 사기그릇에 담아 굳힘.

전에꾼쌀[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8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빌려간 쌀.

전연(全然)[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전연(全然)[구쟉가 11 페이지 / 전적]

조금도, 아주, 완전히.

전연(靦然)[송강집(松江集五)5 111 페이지 / 전적]

얼굴 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

전연(靦然)[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5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워서 무안해 하는 모양.

전연무치(靦然無恥)[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7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움이 없는 모양.

전오(典午)[석천집(石川集二-一)2-1 27 페이지 / 전적]

進士試니 晋時에 王姓 司馬를 諱하려고 司馬를 典午하고 고쳐 불렀고 我國의 進士 生員試를 司馬試라고 했다

전옥(典獄)[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전옥서(典獄薯)의 약칭. 구금된 죄수의 행형(行刑)을 관장하던 부서임.

전옥(典獄)[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전옥서(典獄薯)의 약칭. 구금된 죄수의 행형(行刑)을 관장하던 부서임.

전옥서(典獄署)[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감옥의 죄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태조 1년(1392)에 두었다가 고종 31년(1894)에 없애고 감옥서로 고쳤다.

전옥서(典獄署)[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감옥의 죄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1년(1392)에 두었다가 고종 31년(1894)에 없애고 감옥서로 고쳤다.

전욱(顓頊)[한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의 하나. 고양에서 나라를 세워서 고양씨(高陽氏)로 불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