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신(全身)[추월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온 몸.
전신(全身)[한양가라 30 페이지 / 전적]
온 몸.
전신만신(全身滿身)[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온몸’을 강조하는 말.
전아(銓亞)[송강집(松江集二)2 181 페이지 / 전적]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이름.
전안(奠雁) 납폐(納幣)[ 1 페이지 / ]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 신부 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
전안(奠雁) 납폐(納幣)[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8 페이지 / 전적]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 신부 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
전안(奠雁)[계녀사라 6 페이지 / 전적]
혼인 때 신랑이 신부의 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
전안(奠雁)[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6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전안(奠雁)[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전안(奠雁)[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전안(奠雁)[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전안(奠雁)[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전안(奠雁)[대동가(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구식 혼인(婚姻) 때 신랑이 신부집(新婦-)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禮). 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흔히 나무로 만든 것을 씀.
전안(奠雁)[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대개 나무로 만든 것을 씀. 기러기는 짝이 죽어도 다른 상대를 찾지 않고 따라 죽거나 평생을 혼자 사는 새로 여겨져 혼례에 쓰이는 중요한 상징물이 됨.
전안(奠雁)[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신랑이 신부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위에 놓고 절하는 예(禮).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지만 흔히 나무로 깎아 만든 것을 씀.대개 납폐(納幣)를 할 때 같이 함.안(雁)은 안(鴈)으로도 씀.
전안(奠雁)[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婚姻) 때 신랑이 신부집(新婦-)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흔히 나무로 만든 것을 씀.
전안(奠雁)[형졔분슈가 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전안(奠雁), 납폐(納幣)[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9 페이지 / 전적]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 신부 집에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는 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
전안례(奠雁禮)[가사애부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통혼례에서 결혼 당일 신랑이 대례를 치르러 신부집에 갈 때 기러기를 가지고 가서 초례상(醮禮床) 위에 놓고 절을 하는 절차를 말함.예전에는 산 기러기를 썼으나 지금은 나무 기러기를 씀.
전안상(奠雁床)[소상팔경가 2 페이지 / 전적]
전안을 할 때에 기러기를 올려놓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