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전답(田畓)[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논밭. ‘논밭’으로 순화됨.
전답(田畓)[경영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전답(田畓) 구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논밭에 대한 세납(稅納).
전당(典堂)[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기한 내에 돈을 갚지 못하면 맡긴 물건을 마음대로 처분하여도 좋다는 조건하에 돈을 빌리는 일.
전당(典當)[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2 페이지 / 전적]
물건을 담보로 돈을 꾸어 주거나 꾸어 쓰는 것.
전당(典當)[경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기한 내에 돈을 갚지 못하면 맡긴 물건 따위를 마음대로 처분하여도 좋다는 조건하에 돈을 빌리는 일.
전당(典當)[경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기한 내에 돈을 갚지 못하면 맡긴 물건 따위를 마음대로 처분하여도 좋다는 조건하에 돈을 빌리는 일.
전당(典當)[복션화음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건을 담보로 잡아 돈을 빌림.
전당(典當)[가사소리 24 페이지 / 전적]
기한 내에 돈을 갚지 못하면 맡긴 물건 따위를 마음대로 처분하여도 좋다는 조건하에 돈을 빌리는 일.
전대(專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3 페이지 / 전적]
專對」―使臣에게 쓰는 말임.論語 子路篇에 「誦詩三百 授之以政不達 使於四方 不能專對 雖多亦奚以爲」라 하였음.
전대(殿臺)[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전각의 난간이 달린 대.
전대(纏帶)[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돈이나 물건을 몸에 지니기 위해서 무명이나 헝겊 따위로 길게 만든 자루. 허리에 차거나 어깨에 둘러서 사용했음.
전대(轉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5 페이지 / 전적]
①꾸어 온 것을 다시 남에게 꾸어 줌 ②남을 사이에 두고 꾸어 줌.
전대(轉貸)[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5 페이지 / 전적]
①꾸어 온 것을 다시 남에게 꾸어 줌 ②남을 사이에 두고 꾸어 줌.
전대(轉貸)[대비훈민가 9 페이지 / 전적]
①꾸어 온 것을 다시 남에게 꾸어 줌 ②남을 사이에 두고 꾸어 줌.
전대(轉貸)[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빌리거나 꾼 것을 다시 다른 사람에게 빌려 주거나 꾸어 줌. 남을 거쳐서 빌려 주거나 꾸어 줌.
전대가……면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98 페이지 / 전적]
전대(專對)는 나라의 전권대표로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고, 해위(奚爲)는 쓸모 없음을 의미함.《論語 子路》에 공자가 이르기를 ‘시(詩) 3백 편을 외우고도 사방에 사명을 받들어 행함에 능히 나라를 대표〔專對〕하지 못하면 또한 무엇에 쓰겠느냐.〔亦奚以爲〕‘고 한 것을 인용한 것임.
전대기봉(前對奇峰)[낙지가 6 페이지 / 전적]
기이한 봉우리를 마주 대하다.
전도(顚倒) 옥안(玉顔)[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3 페이지 / 전적]
거꾸로 하는 것. 아름다운 얼굴. 또는, 미인의 얼굴.
전등(傳燈)[ 1 페이지 / ]
불교에서 법등을 받아 전하는 의식. 불전에 올리는 등불.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