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악연(愕然)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0 페이지 / 전적]

깜짝 놀라서. 악연(愕然)은 놀라는 모양.

악연낫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4 페이지 / 전적]

악연낙담(愕然落膽). 놀랍고 정신이 없음.

악연창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3 페이지 / 전적]

악연창설(愕然昌說). 놀라움에 하는 무성한 많은 이야기.

악와(渥洼)[석천집(石川集二-四)2-4 28 페이지 / 전적]

中國 甘肅省 安西縣에 있는 강 이름. 盧綸의 <送史兵曹判官赴樓繁詩>:『渥洼龍種散雲 時,千里繁花乍別離.』

악왕모(惡王母)[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서왕모(西王母)’를 잘못 쓴 듯함. 서왕모는 중국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으로 불사약을 가진 선녀라고 하며, 음양설에서는 일몰(日沒)의 여신이라고도 함.

악월(惡月)[반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음양도(陰陽道)에서 운이 나쁜 달.

악음[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아귀. 입심. 입.

악의악식(惡衣惡食)[명륜가(明倫歌) 73 페이지 / 전적]

허름한 옷과 거친 음식.

악의악식(惡衣惡食)[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악의악식(惡衣惡食)[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허름한 옷과 거친 음식.

악의악식(惡衣惡食)[서가여래가사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호의호식(好衣好食)의 반의어. 입을 것 못 입고, 먹을 것 못 먹어 가면서 어렵게 살아감.

악의악식(惡衣惡食)[서가여래가사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호의호식(好衣好食)의 반의어. 입을 것 못 입고, 먹을 것 못 먹어 가면서 어렵게 살아감.

악의악식(惡衣惡食)[교훈가 1 페이지 / 전적]

나쁜 음식을 먹고 나쁜 옷을 입음. ↔ 호의호식(好衣好食).

악의악식(惡衣惡食)[김씨효행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악전고투(惡戰苦鬪)[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어려운 조건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고생스럽게 싸움.

악정(惡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6 페이지 / 전적]

백성(百姓)을 괴롭히는 나쁜 정치(政治).

악정자춘(樂正子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6 페이지 / 전적]

「春憂數月足」- 禮 祭儀에「樂正子春 下堂而傷其足 數月不出猶有憂色 門弟子曰 夫子之足瘳矣 數月不出 猶有憂色河也 樂正子曰……父母全而生之 子全而歸之 故君子頃步而不敢忘孝也 今余忘孝之道 是以憂也」라 하였음.

악증(惡症)[벽천가 28 페이지 / 전적]

악의가 있는 짜증.

악지식(惡知識)[권왕가 32 페이지 / 전적]

사람을 그르치어 좋지 못한 곳으로 이끌어가는 사람.

악질(悪疾)[거취가(去取歌) 4 페이지 / 전적]

고치기 힘든 병.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