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아자(我子)[츄억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아들.
아자(我子)[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자식.
아자미[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재미네. 아주미네. 아주머니네.
아자바[몽유가(몽류가) 27 페이지 / 전적]
아버지.
아자바[몽유가(몽류가) 27 페이지 / 전적]
아버지.
아자전(亞字田)[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아(亞)자 모양으로 생긴 밭.
아자전(亞字田)[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아(亞)자 모양으로 생긴 밭.
아장(亞將)[한흥가라 9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무관 계통의 차관급 벼슬. 용호별장(龍虎別將), 도감중군(都監中軍), 금위중군(禁衛中軍), 어영중군(御營中軍)을 이른다.
아장(亞將)[한양가라 94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때 무관 계통의 차관급 벼슬. 용호별장(龍虎別將), 도감중군(都監中軍), 금위중군(禁衛中軍), 어영중군(御營中軍)을 이른다.
아장아장[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키가 작은 사람이나 짐승이 이리저리 찬찬히 걷는 모양.
아재[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촌.
아적(蛾賊)[수션의라 11 페이지 / 전적]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효.
아적(蛾賊)[기수가 1 페이지 / 전적]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효.
아적마다[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아침마다. ‘아적’은 ‘아침’의 방언.
아전(衙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소속된 벼슬아치 밑에서 일을 보던 사람.
아전(衙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소속된 벼슬아치 밑에서 일을 보던 사람.
아전(衙前)[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소속된 벼슬아치 밑에서 일을 보던 사람.
아전(衙前)[한양가라 42 페이지 / 전적]
지방관청의 하급 관리.
아전(衙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로 중앙 관서의 아전을 경아전(京衙前), 지방 관서의 아전을 외아전(外衙前)이라고 하였다.
아전관속[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아전(衙前)은 조선 시대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중앙 관서의 아전 을 경아전(京衙前), 지방 관서의 아전을 외아전(外衙前)이라고 함. 관속(官屬)은 지방 관아의 아전 과 하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