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악도(惡道)[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악처(惡處). 악업을 지어서 죽은 뒤에 가는 고통의 세계. 지옥(地獄) ․ 아귀(餓鬼) ․ 축생(畜生) ․ 수라(修羅)의 네 가지가 있음.

악독(嶽瀆)[수지장제일 1 페이지 / 전적]

높은 산과 하천. 산과 물.

악독(惡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흉악(凶惡)하고 독살스러움.

악독(惡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흉악(凶惡)하고 독살스러움.

악독(惡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흉악(凶惡)하고 독살스러움.

악독(惡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흉악(凶惡)하고 독살스러움.

악류(惡類)[충효가(忠孝歌) 10 페이지 / 전적]

악한 사람의 무리.

악마풍(惡魔風)[화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마음을 홀려 나쁜 생활을 하게 하는 것. 서양의 낯선 풍습에 대한 비판.

악머구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5 페이지 / 전적]

요란스럽게 잘 운다고 하여 참개구리를 이르는 말.

악몽(惡夢)[한양가라 52 페이지 / 전적]

불길하고 무서운 꿈.

악무모[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악무목(岳武穆). 송나라 때의 충신인 악비(岳飛). 금나라와 화친을 꾀하던 진회(秦檜)에 반대하다가 모함에 빠져 죽었음.

악무모[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악무목(岳武穆). 송나라 때의 충신인 악비(岳飛). 금나라와 화친을 꾀하던 진회(秦檜)에 반대하다가 모함에 빠져 죽었음.

악무목(岳武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여진족 군대에 대항해 싸웠던 남송 초기의 장군 악비(岳飛).

악무목(岳武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여진족 군대에 대항해 싸웠던 남송 초기의 장군 악비(岳飛).

악무목(岳武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여진족 군대에 대항해 싸웠던 남송 초기의 장군 악비(岳飛).

악무목(岳武穆)[명륜가(明倫歌) 49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의 장수 악비(岳飛). 명장(名將)이며 충신. 금(金)나라를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다. 뒤에 악왕(鄂王)에 추봉됨.

악무목(岳武穆)[녁대가(녁가) 62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南宋)의 장수인 악비(岳飛)를 말함. 충성심이 두터워 금(金)나라 군사들이 침입했을 때 여러 차례 적을 쳐 용맹을 떨침. 진회(秦檜)의 주화설(主和說)에 반대하여 옥에서 죽음.

악비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6 페이지 / 전적]

「岳飛」-宋나라 湯飮人으로 字는 鵬擧인데 지극한 효성으로 어머니를 섬기고 家貧力學하였다. 宣和中에 敢戰士로 應募하여 宗澤의 部下에 예속되어 金軍을 여러번 깨뜨리니 高宗은 손수「精忠岳飛」라는 네 글자를 써서 旗를 만들어 下賜하였다. 다시 李成을 부수고 劉豫를 평정하고 楊幺를 베고 累官하여 太尉에 이르렀으며 또 少傅를 제수받아 河南北諸路의 招討使가 되어 未幾에 金兵을 朱仙關에서 大破하고 날을 지정하여 渡河하려고 하는데 이때 秦檜가 和議를 力主하여 마침내 하루에 十二金字牌를 내려 岳飛를 召還하였으며 다시 萬俟卨等을 시켜 飛를 탄핵하여 下獄시켜 죽게 만들었다. 時年이 三十九歲였다. 孝宗때에 詔命으로 復官하고 諡를 武穆이라 했으며 寧宗때에 鄂王으로 追封하고 忠武로 改諡 하였다 岳武穆이 있음.

악비전(岳飛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21 페이지 / 전적]

岳飛는 宋朝 말기의 忠臣이었는데 奸臣 秦檜의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었다. 이때문에 宋나라도 결국 망하고 말았음. 宋史 岳飛傳

악사(惡事)[사군가(事君歌) 10 페이지 / 전적]

악한 일. 나쁜 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