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8 페이지 / 전적]
「酒食是宜」―詩經 小雅 斯干에「乃生生女子 無非無儀 惟酒食是宜」라는 句가 있음.
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8 페이지 / 전적]
「載酒」-漢書揚雄傳에 『雄家貧 素嗜酒 人希至其門 時有好事者載酒肴從遊學』이라 했음
술 쓴 일 못했다고 쇠술로 안 먹는 줄[안심가 11 페이지 / 전적]
숟가락을 쓸 정도의 일을 못 했다고 하여, 쇠로 만든 숟가락을 사용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줄.
술(述)하니[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말하니. 지으니.
술(述)하니[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말하니. 지으니.
술너대왕[착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시왕 중 한 분인 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
술동이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泛樽」- 꽃을 술항에 띠운다는 말임. 陶潜詩에「秋菊有佳色 浥露掇其英 汎此忘憂物 遠我遺世情」이라 하였음.
술로다 못을 파고 포육(脯肉)으로 산을 모며[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주지육림(酒池肉林)을 이름.
술로다 못을 파고 포육(脯肉)으로 산을 모며[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주지육림(酒池肉林)을 이름.
술룡(戌龍)[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술막질 술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2 페이지 / 전적]
주막을 경영하는 영업. 주막(酒幕).
술방(戌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술방(戌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6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술방(戌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7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술방(戌方)[호남비결(湖南秘訣) 14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의 하나.정서(正西)에서 북으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
술범풍창(戌犯風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술방(戌方)을 범하면 풍병(風病)과 창병(瘡病)이 생긴다.
술범풍창(戌犯風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술방(戌方)을 범하면 풍병(風病)과 창병(瘡病)이 생긴다.
술범풍창(戌犯風瘡)[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청룡(靑龍)이 술방(戌方)을 범하면 풍병(風病)과 창병(瘡病)이 생긴다.
술성공(述聖公)[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즉 유가의 비조로 모시는 대성인인 공구(孔丘, 孔子)를 일컫는 말. 한편 원사(元史)나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에는 원나라 문종(文宗)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에게 내린 봉호(封號)로도 전함.
술성공(述聖公)[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자사(子思). 성은 공(孔), 이름은 급(伋), 공자(孔子)의 손자, 鯉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