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술성공(述聖公)[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자사(子思). 성은 공(孔), 이름은 급(伋), 공자(孔子)의 손자, 鯉의 아들.
술성공(述聖公)[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술성공(述聖公)[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술성공택(述聖公宅)[권션지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사(子思)의 집
술업(術業)[녁대가(녁가) 66 페이지 / 전적]
음양(陰陽), 복서(卜筮) 따위의 술법에 종사하는 일.
술을취코[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고.
술을취코[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고.
술잔은 이태백과 같이 석 잔일세[석천집(石川集二-二)2-2 131 페이지 / 전적]
이백이 지은 시 <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에 ‘두 사람 마주앉아 잔을 나누니 산에는 꽃이 피는데, 한 잔 한 잔 또 한 잔 하네.[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라고 하였다.또 <독작시(獨酌詩)>에, ‘술 석 잔이면 대도에 통하고, 한 말이면 자연과 합치되네.[三杯通大道, 一斗合自然]‘이라고 하였다.
술지게미[벽천가 51 페이지 / 전적]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
술토(戌圡)[경술가 4 페이지 / 전적]
술(戌)은 십이지(十二支) 중 열한 번 째, 오행으로 토(土)에 해당.
술퉁자[화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술을 담은 통이나 주전자
술파(戌破)[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3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의
술파(戌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술방(戌方)의 파(破)를 말한다. 파(破)는 득수(得水), 내수(來水)를 말한다. 파(破)는 혈처(穴處)의 사성(砂城)밖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보이면, 득수이고 보이지 않으면 득파(得破)이다.
술파(戌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술방(戌方)의 파(破)를 말한다. 파(破)는 득수(得水), 내수(來水)를 말한다. 파(破)는 혈처(穴處)의 사성(砂城)밖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보이면, 득수이고 보이지 않으면 득파(得破)이다.
술파(戌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술방(戌方)의 파(破)를 말한다. 파(破)는 득수(得水), 내수(來水)를 말한다. 파(破)는 혈처(穴處)의 사성(砂城)밖으로 흐르는 물을 말하는데, 보이면, 득수이고 보이지 않으면 득파(得破)이다.
술해(戌亥)[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0 페이지 / 전적]
건방(乾方). 서북(西北).
술해방(戌亥方)[몽즁운동가 8 페이지 / 전적]
서북방.
술해지운(戌亥之運)[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갑술을해(甲戌乙亥)를 말하는데, 술해(戌亥)는 천문(天門)이요, 술(戌)은 화롯 불이다. 갑을목(甲乙木)에 불이 붙어서 하늘 높이 불꽃이 치솟으니, 마치 산불이 난 것과 같다는 말.
술해지운(戌亥之運)[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갑술을해(甲戌乙亥)를 말하는데, 술해(戌亥)는 천문(天門)이요, 술(戌)은 화롯 불이다. 갑을목(甲乙木)에 불이 붙어서 하늘 높이 불꽃이 치솟으니, 마치 산불이 난 것과 같다는 말.
숨기[구쟉가 7 페이지 / 전적]
숨을 쉬는 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