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순원[팔역가(八域歌) 7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때 안녹산의 난을 평정한 장순과 회양 태수 허원
순원(純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8 페이지 / 전적]
조선 순조의 비(1789~1857). 김조순의 딸로, 헌종에서 철종 때까지 대왕대비로서 수렴청정을 하여 안동 김씨의 세도를 절정에 이르게 하였다.
순월(旬月)[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37 페이지 / 전적]
1개월, 10개월, 짧은 시일 등을 지칭.
순의문[제주여행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抗蒙遺蹟址)
순인군(舜人君)[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순임금. 요임금의 사위.
순인군(舜人君)[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순임금. 요임금의 사위.
순인군(舜人君)[한흥가라 15 페이지 / 전적]
순임금. 요임금의 사위.
순일(旬日)[무제(양신택졍하여) 8 페이지 / 전적]
음력 초열흘.
순일(舜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3 페이지 / 전적]
「舜日」― 家語에 『舜이 五絃의 거문고를 타며 南風의 詩를 노래하였는데, 그 詩에 「南風之薰兮 可以解吾心之慍兮 南風之詩兮 可以阜吾民之財兮」』라 하였다. 무릇 琴材로는 梧桐이 제일이므로 이 시의 題目이 「桐臺夏陰」인 때문에 引用한 것임. 枚乘의 「七發」에 「龍門之桐 高百尺而無枝 使琴摯 斫斬以爲琴」이라하였음.
순일舜日[ 1 페이지 / ]
중국의 순舜 임금이 나라 다스리던 태평한 때. 순일 요년舜 日堯年의 준말
순임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5 페이지 / 전적]
仁宗의 潛邸時를 말한 것임
순임금[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제왕으로 삼황오제(三皇五帝)신화 가운데 마지막 군주이다.
순임금[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전설적인 제왕으로 삼황오제(三皇五帝)신화 가운데 마지막 군주이다.
순절 사의(殉節死義)[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9 페이지 / 전적]
충절, 또는 정절을 지켜 죽거나, 옳은 일을 위해 죽는 것.
순절(殉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순절(殉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순조(純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6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23대 왕(1790~1834). 이름은 공(玜). 자는 공보(公寶). 호는 순재(純齋). 가톨릭교를 탄압하였다. 재위 기간은 1800~1834년이다.
순종(順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12대 왕(1046~1083)으로 이름은 훈(勳), 초명은 휴(烋), 자는 의공(義恭)이다. 1083년에 즉위하였으나, 그해에 죽었다.
순종(順從)[낙향이별가 10 페이지 / 전적]
순순히 따름.
순지(順志)[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뜻을 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