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숨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3 페이지 / 전적]
「圉圉」-孟子 萬章篇에『始舍之 圉圉焉 少則洋洋焉 攸然而逝』라는 대문이 있음.
숨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3 페이지 / 전적]
「豹隱」-山林에 엎디어 있는 것을 말함
숨을 불식(不息)하다 하시며[사군가(事君歌) 6 페이지 / 전적]
숨도 쉬지 않는 것 같이 하시며.
숫돌[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칼이나 낫 따위의 연장을 갈아 날을 세우는 데 쓰는 돌. ‘맷돌(곡식을 가는 데 쓰는 기구)’의 경북 방언.
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흉’의 방언.
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흉’의 방언.
숭강崇岡[ 1 페이지 / ]
높은 산. 숭산숭산.
숭고산(嵩高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3 페이지 / 전적]
「嵩高山」-곧 中岳嵩山임. 後漢書 靈帝紀에 『熹平五年 復崇嵩山 名爲嵩高山』이라 했고 白虎通에 『中岳居四方之中而高 故曰嵩高』라 했음.
숭녕(崇寧)[송강집(松江集五)5 57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휘종(徽宗)의 연호
숭례(崇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숭례문(崇禮門).
숭례(崇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숭례문(崇禮門).
숭례(崇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숭례문(崇禮門).
숭례(崇禮)[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예를 숭상하다.
숭례문(崇禮門)[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서울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하였다.
숭례문(崇禮門)[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4 페이지 / 전적]
1396년(태조 5) 창건되어 1448년(세종 30) 개축했으며, 국보 제1호로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함.
숭례문(崇禮門)[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건립한 한양 도성의 남쪽 정문.
숭록대부(崇祿大夫)[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종일품 문무관의 품계.
숭릉(崇陵)[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9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구리시에 있으며, 조선 현종과 그의 비(妃) 명성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東九陵)의 하나임.
숭릉(崇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8 페이지 / 전적]
조선 현종과 그의 비(妃) 명성 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숭망전[팔역가(八域歌) 42 페이지 / 전적]
숭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