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명우천(受命于天)[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하늘의 명을 받음.

수명장신(受命將臣)[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오래 살아감.

수목(樹木)[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있는 나무.

수몰(雖沒)이나[시양병가(侍養病歌) 4 페이지 / 전적]

비록 돌아가셨으나.

수몰(雖沒)이나[근신가(謹身歌) 2 페이지 / 전적]

비록 돌아가셨으나.

수몰(雖沒)이나[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2 페이지 / 전적]

비록 돌아가셨으나.

수못하면[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살지 못하면.

수묘(殊妙)하게[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빼어나고 절묘하게.

수묘(殊妙)하게[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빼어나고 절묘하게.

수묘(殊妙)하다[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빼어나고 절묘하다.

수무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1 페이지 / 전적]

무수이. ‘수무’는 문맥상으로 무수(無數)로 보면 좋을 듯함..

수묵(水墨)[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빛이 엷은 먹물 또는 먹그림.

수문(修門)[송강집(松江集一)1 94 페이지 / 전적]

大闕을 이름.

수문(脩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脩門」― 大闕을 말함.

수문랑[석천집(石川集二-二)2-2 62 페이지 / 전적]

문인이 죽으면 지하에 가서 문덕(文德)을 닦는 관리가 된다고 한다. <<삼십국춘추(三十國春秋)>>에 ‘소소(蘇韶)가 죽은 뒤에 사촌아우 절(節)이 소를 낮에 만났다. 절이 그에게 지하의 일을 물었더니, 소가 말하길 ‘안회(顔回)와 복상(卜商)이 지하의 수문랑이 되었다‘고 했다.‘고 했다.

수문랑[석천집(石川集二-二)2-2 207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대에 홍문관의 옛이름이 수문관이었는데, 문인이 죽으면 수문랑이 된다고 하였다.

수문수답(隨問隨答)[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묻는 대로 거침없이 대답함.

수문수법(修文修法)[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문장을 기르고 법을 지킴.

수문수법(修文修法)[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문장을 기르고 법을 지킴.

수문후(隋文侯), 형왕부인(衡王夫人)[권왕가 5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705의 경우와 같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