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수려(秀麗)[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빼어나게 아름다움.

수련(修煉)[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인격, 기술,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함. 수련(修鍊) 혹은 수련(修練)과 같음.

수련(修煉)[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인격, 기술,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함. 수련(修鍊) 혹은 수련(修練)과 같음.

수련(修煉)[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인격, 기술,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함. 수련(修鍊) 혹은 수련(修練)과 같음.

수련(修煉)[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인격, 기술,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함. 수련(修鍊) 혹은 수련(修練)과 같음.

수련성심(修煉誠心)[경화가(警和歌) 37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다하여 마음을 닦아서.

수련성심(修煉誠心)[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참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닦아서 단련함.

수련성심(修煉誠心)[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참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닦아서 단련함.

수련성심(修煉誠心)[경화가(警和歌) 37 페이지 / 전적]

정성을 다하여 마음을 닦아서.

수련성심(修煉誠心)[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참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닦아서 단련함.

수련성심(修煉誠心)[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참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닦아서 단련함.

수렴(水簾)[화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의 발이라는 뜻으로, ‘폭포’(瀑布)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수렴(繡簾)[옥산가라 42 페이지 / 전적]

무늬를 놓아 드리운 발.

수렴법(垂簾法)[송강집(松江集二)2 99 페이지 / 전적]

선가(仙家)에서 조식(調息)할 때 눈을 반만 감고 있는 것을 수렴(垂簾) 이라 칭함.

수렴청정(垂簾聽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발을 내리고 정사(政事)를 듣는다는 뜻으로, 나이 어린 임금이 등극(登極)했을 때 왕대비(王大妃)나 대왕대비(大王大妃)가 왕을 도와서 정사(政事)를 돌봄을 이르는 말.

수렴청정(垂簾聽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8 페이지 / 전적]

발을 내리고 정사(政事)를 듣는다는 뜻으로, 나이 어린 임금이 등극(登極)했을 때 왕대비(王大妃)나 대왕대비(大王大妃)가 왕을 도와서 정사(政事)를 돌봄을 이르는 말.

수렵장(狩獵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2 페이지 / 전적]

사냥터.

수령(守令)[사향곡(향곡) 8 페이지 / 전적]

고려ㆍ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름.

수령(守令)[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수령(守令)[옥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ㆍ조선 시대에,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절도사, 관찰사, 부윤, 목사, 부사, 군수, 현감, 현령 따위를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